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졸 / 隊卒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 가운데 용양위에 속했던 중앙군의 한 병종. 1415년(태종 15)에 제도화된 섭육십의 후신으로 보인다. 양인 또는 신량역천들이 입속하여 시취에 의해 편입되었다. 시취 종목은 주·력을 측정하였다. 총원은 3,000인으로 5교대에 600인이 4개월씩 복무하

  • 대종교 / 大倧敎 [종교·철학/대종교]

    1909년 나철이 창립한 종교. 나철이 1909년 중광(重光)한 직후인 1910년 8월 단군교(檀君敎)애서 교명을 개칭한 것이다. 일제는 1942년 대종교가 조선민중에게 조선정신을 배양하고 민족자결의 의식을 선전하는 교화단체로서 조선의 독립을 최후의 목적으로 삼는다는

  • 대종교총본사 / 大倧敎總本司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의 교무를 전체적으로 통합, 수행하는 최고의 중추기관. 통솔기구인 대일각, 의결기구인 의회, 전도기구인 도원에서 나오는 모든 지시를 받아 행정업무를 총체적으로 통합하여 수행한다. 동서남북 등 네 곳의 도본사를 관할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밑에 속하여 있

  • 대종사 / 大倧師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에서 가장 높은 종교적 경지에 이른 사람에게 주는 최고의 품계. 바로 아래 품계인 종사와 더불어 교종(敎宗)이라고 불린다. 교인의 일반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사교, 정교, 상교, 지교, 참교 등의 품계와는 차원이 다르며, 성철의 덕위를 나타내는 품계이다. 홍익인간

  • 대주첩 / 代柱帖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령의 포폄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왕이 열람하도록 만든 첩자. 1708년(숙종 34) 처음으로 만들어 숙종이 ‘대주첩’이라고 친히 이름을 붙였다. 이 대주첩제도는 수령의 어짊과 어질지 못함이 백성의 편안함과 고달픔의 관건이 되므로, 그들의 행적을 항시 고찰

  • 대중가요 / 大衆歌謠 [예술·체육/대중음악]

    서양음악이 도입되던 시절부터 서민대중 사이에서 즐겨 불리던 세속적인 노래. 우리 나라에서 대중가요는 서양음악의 수입과 더불어 시작된다. 즉, 선교사들에 의하여 찬송가를 중심으로 한 서양음악이 들어오자 서구의 노래들이 번안되어 불리기 시작하였다. 1895년 청일전쟁 후

  • 대중문화 / 大衆文化 [사회/사회구조]

    대중매체에 의해 상품으로 대량 생산, 재생산되어 대중에 의해 소비되는 문화. 대중문화는 크게 세 가지의 층위를 포괄한다. 즉 대중문화 텍스트의 생산과정, 텍스트 자체, 그리고 텍스트의 수용과정이 그것이다. 영화, 드라마, 대중음악 등 대중문화 텍스트는 주로 대중매체,

  • 대중음악 / 大衆音樂 [예술·체육/대중음악]

    널리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악. 순수음악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대중의 흥미나 이해력에 중점을 둔 통속적인 음악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이 등장한 것은 1901년 창설된 최초의 서양식 군악대를 시발로 하였다.

  • 대중춤 / 大衆춤 [예술·체육/무용]

    모든 사람이 체력향상·건강증진·아름다움의 추구를 위하여 실행하는 무용활동. 대중춤의 개념은 무용에 대한 개념의 변천과 문화적 환경 및 우리 생활 여건의 변동에 따라 상이하게 규정될 수 있으며, 대중춤을 어떠한 관점에서 보고 이해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 대증광시 / 大增廣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에 큰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실시하던 과거.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중기부터 그 사례가 보이며 ≪속대전≫에 과거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래 국가에 큰 경사가 있거나 여러 경사가 겹쳤을 때 특설하던 과거시험을 증광(增廣)이라고 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