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 寧越武陵里邀仙岩─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주천강에 있는 바위. 2013년 4월 11일에 천연기념물 제543호로 지정되었다. 영월군 수주면에서 주천면으로 흐르는 주천강 하상의 약 200m 구간에 걸쳐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돌개구멍이 화강암 기반암 위에 광범하게 발달해 있다. 돌개구멍

  •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 寧越文谷里乾裂構造─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문곡리 영월초등교육박물관 북쪽 문곡천 절벽 주변에 있으며, 2000년 3월 16일에 천연기념물 제413호로 지정되었다.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약 4∼5억 년 전에 생긴 오르도비스기 하부 고생대 지층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암석층에 건

  • 영월 어라연 일원 / 寧越魚羅淵一圓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거운리에 있는 명승. 영월읍을 남북으로 지나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동강의 문산 나루터와 거운 나루터 사이에 있는 명승지이다. 주변 산야가 울창한 산림지대로 형성되어 기암절벽과 식생경관이 천혜의 조화를 이루어 명승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어라연은 물

  • 영월고씨굴 / 寧越高氏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에 있는 석회동굴. 주변에는 장릉(莊陵)·보덕사(普德寺)를 비롯한 금강공원(金江公園)일대와 치악산·단양팔경 등과 더불어 관광동굴로서의 가치도 크다.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연계 관광지로 살펴보면 고씨동굴→김삿갓유적지→내리계곡(2시

  • 영월대야동굴 / 寧越大野洞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대야리에 있는 동굴. 영월 대야동굴은 동경 128°33′11″, 북위 37°07′34″, 표고 190m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강원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동굴은 공간이 협소하고 호화로운 종유석들이 많아서 학술적 보존가치를 가지고

  • 영월선돌 / 寧越선돌 [지리/자연지리]

    강원 영월군 영월읍 방절리에 위치한 명승. 제천에서 영월로 이어지는 길목인 영월 방절리의 서강 가 절벽에 위치하며 거대한 바위가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선돌은 높이 약 70m 정도의 입석으로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불리며, 푸른 강

  • 영월연하동굴 / 寧越蓮下洞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에 있는 석회동굴. 영월연하동굴은 동경 128°30′32″, 북위 37°11′01″, 표고 250m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에 강원도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동굴의 면적은 375,372㎡, 길이는 약 200m이고, 일명 수정동굴(水

  • 영월용담굴 / 寧越龍潭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에 있는 석회동굴. 영월용담굴은 동경 128°32′04″, 북위 37°07′35″, 표고 310m에 위치한다. 1976년 강원도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되었다. 용담굴에는 두 개의 동굴입구(제1입구, 제2입구)가 있다. 제1입구의 입구 크기는

  • 영월한반도지형 / 寧越韓半島地形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에 위치한 명승. 평창에서 영월로 흘러오는 평창강과 주천강이 합수되어 서강이 시작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를 닮은 지형으로서, 계절마다 특색 있는 경관을 보여 주는 명승이다. 오간재전망대는 ‘한반도지형’을 조망하기에 가장 좋은 지점으로

  • 영일만 / 迎日灣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달만곶과 남구 호미곶면 호미곶과의 사이에 있는 만. 영일만의 면적은 200㎢이며, 남서와 동북방향으로 놓여진 장방형의 형태를 보이고 수심이 30m이하로서 해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남북해안은 급경사로 육지에 접해있다. 영일만의 내만 깊숙한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