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도랑선배청정각씨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26년함경남도 홍원군에서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이 무가는 한 여인의 지극한 정성과 사랑이 하늘을 감동시켰다는 것으로서, 부부 애정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는 무속신화이다. 이
도령가 / 徒領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흥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제목과 창작연대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악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 17에 옮겨져 있다. 노래의 가사·해설이 전하지 않으므로, 내용은 물론 형식을 전혀 알
도리강관원놀이 [문학/구비문학]
동해안 별신굿 중 열번째 거리인 천왕굿에 이어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무극(巫劇). 이 놀이는 여자무당은 참여하지 않고 남자무당에 의하여 연행되는데, 사또역을 맡는 무당, 고지기역·기생역을 맡는 무당, 도리강관·이방·황소·도사령·수노·기생오라비역을 맡는 무당 등 세 사람
도리화가 [문학/구비문학]
조선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 신재효는 진채선을 발굴하고 판소리 명창들을 초대하여 여류 명창으로 교육시킨 뒤, 경복궁 낙성연에 올려 보내어 대원군에게 그 진가를 인정받게 한다. 그는 몇 번이나 상처(喪妻)를 한 뒤인지라 젊은 여제자에게 특별한 애정을 느낀
도미처설화 / 都彌妻說話 [문학/구비문학]
백제인 도미 처(都彌妻)의 정절을 기린 설화. 도미처 설화는 사제왕 살해의 풍속과 관련된다. 높은 지위에 있던 사제왕이 숲의 여신을 보호하고 있다가 새로운 사제왕의 출현으로 임무 교체를 하게 되면서 사제왕 사이에 갈등이 생겨 살해를 한다는 것이다. 도미처 설화의 이면에
도산12곡 / 陶山十二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황(李滉)이 지은 시조. 12수의 연시조. 작자는 이 작품을 전육곡(前六曲)·후육곡(後六曲)으로 나누고, 전육곡을 ‘언지(言志)’, 후육곡을 ‘언학(言學)’이라 이름 붙였다. 『언지』는 천석고황(泉石膏肓)의 강호은거(江湖隱居)를 읊었고, 『언학』은 학문과
도산말명방아놀이 [문학/구비문학]
황해도 지역의 철물이굿·만수대택굿 등 재수굿에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 ‘도산’, ‘말명’, ‘지신(地神)집 큰애기’, ‘살량집 며느리’, ‘봉산네 오라버니’ 등 여러 신격들이 등장하여 굿하는 집의 액을 제거하고 복을 빌어 주는 놀이인데, 주로 무녀와 장구 반주자와의 대
도산별곡 / 陶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조성신(趙聖臣)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2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축이며, 2·3조, 2·4조, 4·4조 등도 보인다. 『염와유고(恬窩遺稿)』와 『노계선생문집(蘆溪先生文集)』(중간본, 1904)에 전한다. 『노계선생문집』에는 ‘
도산육곡 / 陶山六曲 [문학/고전시가]
李滉(1501∼1570)이 지은 연시조 ‘陶山六曲’의 친필 목판 인쇄본.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의 연시조(聯詩調)를 「도산십이곡」이라 하는데, 이황은 이별(李鼈)의 육가(六歌)를 모방하여, 「육곡」 하나에서는 ‘지(志)’를 말하고, 또 하나에서는 ‘학(學)’을 말하였
도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에 관한 설화. 「도선설화」는 크게 출생·행적·죽음의 3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출생 부분에서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는 「옥룡사비문」을 제외한 각 편들은 도선의 어머니가 빨래터에 떠내려온, 또는 뜰 안에 열린 오이를 먹고 잉태한 뒤 아이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