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동기략 / 大東紀略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왕조의 왕의 인적 사항 및 재위 연대 등을 수록한 역사서. 필사본. 고종퇴위 이후에 편찬. 현재 영본(零本)으로 1책이 남아 있다. 남은 1책은 권 15와 16으로, 대황제(고종) 상·하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 체재는 왕의 인적 사항 및 재위 연대를 기록하였다.

  • 대동기문 / 大東奇聞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역대 인물들의 전기·일화들을 뽑아 엮은 책. 4권 1책. 이 책에는 태조대 배극렴(裵克廉)으로부터 시작하여 고종대 민영환(閔泳煥)에 이르기까지 총 716항이 실려 있다. 이어 부록으로 ‘고려말 수절제신(高麗末守節諸臣)’편에 정몽주(鄭夢周) 이하 98항이 첨가되

  • 대동리 들메나무 / 大同里─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직할시 상원군 대동리에 있는 들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96호. 들메나무는 대동리 기장동에 있는 사적비 앞에 있다. 들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충적토양이다. 나무는 1910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뿌리목 둘레는 3.6m

  • 대동만 / 大東灣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 옹진군 옹진반도와 용연군의 장산곶 사이의 해상에 있는 만. 용연군, 태탄군, 옹진군과 접하고 있고, 해안선의 길이는 174.0㎞, 만 어귀의 너비는 35.0㎞이다. 38선이 만 중남부를 지난다. 만 연안에는 송월포구를 비롯하여 태탄, 덕동 등 많은 포구들이 있

  • 대동문수 / 大東文粹 [교육]

    총집류(總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2.2×15.3cm이고, 반곽은 17.2×11.2cm이다. 판심제는 대동문수(大東文粹)이다. 구한말(舊韓末)의 한문교재로 장지연(張志淵)이 고금(古今)의 글

  • 대동방여전도 / 大東方輿全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의 목판본 「대동여지도」를 부분적으로 보완한 지도. 「대동여지도」와 비교해 보면, 「대동여지도」의 도성도에서는 경복궁 북쪽의 경무대(景武臺)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동방여전도」에는 표시되어 있다. 현재의 청와대 자리는 고려 시대에는 이궁(離宮

  • 대동법 / 大同法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에 공납제를 폐지하고 그에 대신해서 제정·실시한 재정제도. 조선 전기 농민이 호역(戶役)으로 부담하였던 온갖 세납, 즉 중앙의 공물·진상과 지방의 관수·쇄마 등을 모두 전결세화하여 1결(結)에 쌀 12말씩을 징수하고, 이를 중앙과 지방의 각 관서에 배분하여

  • 대동사강 / 大東史綱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김광(金洸) 편, 오진영(吳震泳) 교, 신연활자본, 대동사강사, 1929, 12권 2책. 우리나라 단군(檀君)부터 순종(純宗)까지의 역사를 개괄한 편년체 사서(史書)이다. 한글 구결본으로 되어 있다.

  • 대동사목 / 大同事目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대동법 실시에 따른 시행세칙. 대동법은 15세기 중엽 이래 누적되어온 공납제의 모순을 타개하기 위한 제도였다. 이 제도는 1608년(선조 41)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최초로 경기도에서 실시. 그 뒤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지에 차례대로 시행되었

  • 대동상리유적 / 大同上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유적. 첫 번째의 유물 발견 당시에는 표면에 성토(盛土) 등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깎인 표토 아래 약 25㎝ 내외의 깊이에서 철갈래창[鐵戟]·철투겁창[鐵鉾] 등이 먼저 발견되었다. 확장하여 동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