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대로내려온불씨설화 / 代代─佛氏說話 [문학/구비문학]

    며느리를 통해 대대로 내려오는 불씨를 지켜 내려다가 동자삼을 발견하고 부자가 된 이야기. 대대로 내려온 불씨 설화는 본질적으로는 불씨를 지켜 내는 이야기이다. 불씨를 지피는 행위는 본래 화덕이나 아궁이에서 연료를 때는 행위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연료가 황금이나

  • 대덕구(대전광역시) / 大德區(大田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전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구(區). 북쪽은 충청북도 청주시와 보은군, 동쪽은 계족산을 경계로 동구, 남쪽은 중구와 서구, 서쪽은 갑천을 사이에 두고 유성구와 접한다. 동경 127°23'∼127°30', 북위 36°20'∼36°28'에 위치한다. 면적은 68.68㎢이고,

  • 대덕내동리지석묘 / 大德內洞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저동의 충남방적주식회사 정문 옆에 있는 4기의 고인돌.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3호. 원내동 지석묘군은 호남고속도로 인터체인지에서 대전쪽으로 2㎞ 정도 국도를 따라 오면 좌측 도로변에 연못이 있는데 여기에서 북쪽으로 500m 떨어진 표고 80m∼90m

  • 대덕사성리지석묘 / 大德沙城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전광역시 동구 사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1기만이 발견되었고, 1977년 대청댐 수몰지구 유적발굴조사의 일환으로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하였다. 금강의 작은 지류인 주안천(周岸川)이 흐르는 동면 지역은 대청댐 수몰지구 내에서 가장 넓은 평야를 이루는 곳이다.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삼척시 하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307m로,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서쪽에 노목산(櫓木山, 1,150m), 남쪽에 금대산(金臺山, 1,096m)·함백산(咸白山, 1,573m), 동쪽에 육백산(六百山, 1,244m)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침식에 의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과 덕성면에 걸쳐 있는 산. 대덕산은 해발 1,461m로, 함경남도의 동북쪽 덕성군, 이원군, 북청군의 경계인 대덕산줄기의 주봉이다. 북청읍에서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동북쪽 계곡을 따라 광제사(廣濟寺)까지 오르고 등산로를 따라 약 3㎞ 오르면

  • 대도 / 大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8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중앙과 동쪽 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1690년에 장수이씨 부부가 처음 섬에 들어온 이후 장수이씨의 집성촌으로 잘 알려져 있다. 토지이용

  • 대도곡 / 大道曲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신라 경문왕 때의 화랑 요원랑(邀元郎)·예흔랑(譽昕郎)·숙종랑(叔宗郎) 등이 금란굴(金蘭窟)에서 놀면서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길을 노래한 3편의 가요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2편은 「문군곡(問群曲)」·「현금포곡(玄琴抱曲)」이다.

  • 대도시 / 大都市 [지리/인문지리]

    다른 도시에 비해 인구가 많고 각종 기능이 밀집한 도시. 우리나라에는 대도시를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이 없다, 그러나 학자와 연구에 따라 중소도시 인구기준의 최대값이 30만∼100만 명으로 설정되는 것을 볼 때, 인구가 100만 이상이며, 지역의 행정적, 경제적, 정치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