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금굴 / 大金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대이리에 위치한 석회동굴. 2003년 2월 25일에 발견되었다. 2006년 6월 20일에 대금굴이라 명명되어 천연기념물 제178호인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에 추가되었다. 길이는 주굴(主窟) 730m와 지굴(支窟) 880m를 합쳐 1,610m에 이른다

  • 대금루시집 / 帶琴樓詩集 [언론·출판]

    저자 이만용(1792-1863).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45장이다. '동번시권'이란 내제하에 다음과 같은 목차로 190수의 시가 실려 있다. 경물시, 교유시와 감회시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간혹 영물시도 눈에 띈다. '가을'에 대한 심상을 집중적으로 쓴 시 등도

  • 대금무 / 碓琴舞 [예술·체육/무용]

    807년(애장왕 8) 처음 연행된 두가지 춤 중의 하나. 두가지 춤은 사내금무(思內琴舞)와 대금무이다. 대금무에서 무척(舞尺)은 적의(赤衣), 금척(琴尺)은 청의(靑衣)를 입었다. 이 춤은 신라 자비왕 때 경주 낭산(狼山) 기슭에 살던 백결선생(百結先生)이 세모(歲暮)

  • 대기문서 / 待期文書 [정치·법제]

    1910년 10월 10일 불특정인에게 일이 있을 것이니 대기하고 있으라고 내린 훈령. 대한제국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지 않고 일본 연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발급인의 직함이 전규장각제학 조한국(趙漢國)이라고 되어 있고, 시기가 한일병합 이후여서 과도기적 시기임을 알 수 있

  • 대기오염 / 大氣汚染 [지리/자연지리]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해물질이 공기가 섞이는 환경오염.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에 의해 인간에게 불쾌감 및 공중보건상의 위해를 끼쳐 쾌적한 생활과 재산을 지키고 누릴 권리를 위협하는 실내·외의 대기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공업

  • 대기점도 / 大奇點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3명(남 50명, 여 43명)이고, 세대수는 45세대이다. 마을은 섬의 북쪽과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의 병풍도와 남쪽의 소기점도는 제방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3㎢,

  • 대기치 / 大旗幟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각 군영에서 의장(儀仗) 및 군사 신호용으로 사용했던 사방 4자 이상의 대형 기치의 총칭.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명시된 대기치의 종류·규격·문양·용도 등에 따라 나누었다. 이 기치들은 또 사용 포백 재료에 따라 대단 대기치(大緞大旗幟)·면주 대기치(綿紬大旗

  • 대나무 [과학/식물]

    대과에 속하는 상록성 목본인 대나무류의 총칭. ‘대’라고 약칭하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죽(竹)이라고 한다. 대나무류는 전세계에 12속 500여 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해장죽속·왕대속·이대속·조릿대속의 4속 14종류가 있다. 대나무의 대표종인 왕대는 중국 원산으로 우

  • 대난지도 / 大蘭芝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9세대이다. 취락은 중앙부에 발달한 구릉의 동쪽 산록에 집촌을 이룬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5㎢, 밭 0.10㎢, 임야 3.10㎢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 대년군 / 待年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급료병의 예비자원으로 등록, 편성된 대기병. 정규군의 16세 미만 아들이나 동생이 등록되었으나, 친족이 없을 경우 타인이 대신할 수 있었다. 훈련도감의 마군과 보군 및 3군영의 표하군 충원은 반드시 대년군에 등록된 자들에 한정하게 하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