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구산격동유적 / 大邱山格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연암산(燕巖山)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문화 유적. 1962년 처음 발견되었고 그 뒤 여러 번 지표조사가 있었으나 유구는 찾지 못하였고 많은 석기와 토기조각이 발견되었을 뿐이다.석기는 돌검·화살촉·돌칼·대팻날·끌·도끼·자귀·숫돌·칼자루끝장식

  • 대구선 / 大邱線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역과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경부선 및 중앙선과 연결되는 노선으로 길이는 29km이다. 2005년에 노선이 이설됨에 따라 기존 노선은 구대구선으로 불린다. 원래 대구선은 1917년에 동대구역에서부터 영천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 대구시립무용단 / 大邱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81년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무용의 대중화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창단된 대구광역시 산하의 시립현대무용단.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시민회관 대강당에서 김기전(金起田)안무 「산」으로 창단공연을 가졌다.초대단장 김기전에 의하여 제11회 정기공연을 가졌

  • 대구시민운동장 / 大邱市民運動場 [예술·체육/체육]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주경기장에는 야간조명장치와 전천후 포장이 된 육상경기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 1962년 제43회 및 1975년 제56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고, 1981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예선전이 거행되었다. 1948년 4월 대구운동장

  • 대구염색산업단지 / 大邱染色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는 산업단지. 대구 중심가에서 북서쪽으로 5㎞ 거리인 구마고속도로 연변에 위치해 있다. 샛강을 따라 동쪽으로 2㎞ 거리에 금호강(琴湖江)과 서쪽으로 1㎞ 거리에 달서천(達西川)이 흐르고 있다. 도심지에 산재되어 있는 염색공장을 집단화하여 공해

  • 대구월성동주거지 / 大邱月城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유적은 대구 분지의 남쪽에 솟은 대덕산(大德山)에서 대략 서쪽으로 낙동강을 향해 뻗은 산괴가 끝나는 부위에 소재한 한 구릉의 서남 기슭에 있다. 유적의 남서쪽 선상지(扇狀地)에는 고인돌 떼가 분포하고 있다. 1

  • 대구읍지 / 大丘邑誌 [지리/인문지리]

    1768년 대구부에서 대구의 역사와 지리·인물·풍속 등을 기록한 지방지. 읍지의 항목 순서는 지도(地圖)-건치 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군액(軍額)-성지(城池)-창고(倉庫)-관방

  • 대구이천동지석묘군 / 大邱梨泉洞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옛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 1936년 일제 당시의 조사자에 의해 5개의 구(區)로 나뉘어 명명되었다. 각 구는 대략 3개씩의 지석묘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한다. 이 중 1936년에 이미 조사된 이천동 제4구 Ⅰ·Ⅲ지석묘

  • 대구지하철 / 大邱地下鐵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에 건설된 도시 철도. 대구광역시 지하철은 세 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으며, 도심의 교통문제 및 대구 주변지역과의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대구는 서울, 부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는 3번째, 세계에서는 84번째로 지하철을 보유한 도시이다. 대구에서의 지하철

  • 대구진천동입석 / 大邱辰泉洞立石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선돌[立石]. 선돌의 재질은 화강암이고 크기는 길이 150㎝, 너비 110㎝, 높이 210㎝이다. 선돌 하부에 축조된 기단은 평면형태가 긴네모모양[長方形]이며 전체적인 규모는 길이 20∼25m, 너비 10∼12.5m 정도이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