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연홍도 / 連洪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에 있는 섬. 동경 127°06′, 북위 34°27′에 위치한다. 거금도(居金島)와 완도군 금당도(金塘島) 사이에 있으며, 거금도에서 서쪽으로 0.6㎞ 지점에 있다. 면적은 0.55㎢이고, 해안선 길이는 4.0㎞이다. 약 300년 전부터 사

  • 연화도 / 蓮花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연화리에 있는 섬. 동경 128°23′, 북위 34°33′에 위치한다. 통영에서 남서쪽으로 14㎞ 지점에 있고, 욕지도 동쪽에 위치한다. 면적은 1.72㎢이고, 해안선 길이는 12.5㎞이다. 연화도의 용머리는 통영팔경 가운데 하나이다. 섬의 형상

  • 연화산 / 蓮花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북면·상남면·동하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355m. 우리 나라에서 열번째로 높은 산이지만, 높은 부전고원(赴戰高原)의 북쪽에 자리잡고 있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산 전체는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으로 덮인 기반 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이 우거져

  • 연화산 / 蓮花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영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24m. 태백산맥의 최남단 여맥에 위치한 산이다. 이 산을 중심으로 크게 동서 방향의 능선과 남북 방향의 능선이 교차하는데, 시루봉(542m)에서 연화산 정상을 거쳐 백련암(白蓮庵)에 이르는 능선은 대개 영현면과

  • 연화산도립공원 / 蓮花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영현면, 대가면에 걸쳐 있는 연화산(蓮花山, 524m)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연화산은 선유봉, 옥녀봉, 탄금봉 등 10여 개의 산봉우리가 심산유곡의 형상을 이루고, 계곡에는 맑고 깨끗한 물이 사시사철 흘러 내린다. 연화팔경의 절경지 등이

  • 연화산맥 / 蓮花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서부 개마고원의 서부를 남북으로 이어져 있는 산맥. 연화산(蓮花山, 2,355m)을 주봉으로 장진군과 신흥군에 걸쳐 있다. 함경남도는 부전령산맥(赴戰嶺山脈)이 북동∼남서방향으로 달리는데, 동해 쪽으로 단층산맥의 급사면을 이루며 내륙쪽으로는 북쪽으로 완만히 기

  • 연화열도 / 蓮花列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의 연화도 주변에 있는 열도. 미륵도(彌勒島)와 욕지도(欲知島) 사이에 위치한다. 연화도(蓮花島)를 비롯하여 우도(牛島)와 그밖에 수 개의 작은 무인도 및 암초들로 구성된다. 우도를 기점으로 북서에서 남동으로 일렬로 산재하는 연화열도는 소백산맥의

  • 영강 / 穎江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속리산에서 발원하여 문경시·상주시를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78㎞. 동북쪽으로 흘러 문경시 농암면 중앙을 흐르는 농암천(籠巖川)이 되고, 농암면과 가은면의 경계에서 산지를 곡류하면서 동북류하여 윤강이 되며, 가은읍 남부를 지나 마성면

  • 영광 법성진 숲쟁이 / 靈光法聖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에 있는 명승. 영광 법성진 숲쟁이는 법성포와 법성진성(法聖鎭城) 및 성 위에 조성된 숲을 이른다. 이는 법성포에서 흥농 방향으로 연결된 842번 지방도의 고개마루 좌우 측 산 능선을 따라 법성리와 진내리에 걸쳐 있다. 2007년에 명승 제

  •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 靈光 佛甲寺―自生北限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에 있는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천연기념물 제112호. 면적 27,769㎡. 이 참식나무 자생지는 불갑사 뒤에 위치하고 있다. 참식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울릉도 또는 남쪽지방의 도서에서 자라는 난대수종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