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대광익회옥편 / 大廣益會玉篇 [언어/언어/문자]
중국남조(南朝)양(梁)의 학자 고야왕(顧野王)이 지은 자서(字書)『옥편(玉篇)』의 송(宋)대 중수본. 송 진종(眞宗)대에 진팽년(陳彭年) 등이 칙명을 받아 1013년(大中祥符 6)에 양고야왕의 자서인『옥편』의 주석을 줄이고 글자를 22,700여 자로 대폭 늘린 중수본이
대교 / 待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문관과 규장각에 소속된 관직. 예문관대교는 2인으로 정8품직이었다. 1401년(태종 1) 예문춘추관을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관하면서 종래의 정8품 수찬(修撰)을 대교로 개칭하여 예문관에 속하게 한 것이다. 봉교·검열과 함께 ‘팔한림(八翰林)’으로 지칭되었고
대구 / 大矩 [문학/고전시가]
신라의 승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1 진성여왕 2년 2월조에 따르면, 왕이 각간 위홍(魏弘)에게 명하여 화상(和尙)인 대구와 함께 향가를 수집하게 하였는데, 이것이 『삼대목(三大目)』이다. 『삼대목』은 현재 전하지 않으므로 그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이것이 향가집
대구 / 大邱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인종(仁宗) 때에 현령이 두어져서 조선왕조에까지 이어왔다. 1415년(세종 1) 5월에 1,000호 이상이 되어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가 세조(世祖) 12년 1월 관제경정(官制更定) 때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大邱 道洞 側柏─ [과학/식물]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에 있는 측백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호. 면적 35,603㎡. 평소에는 물이 흐르지 않는 냇가의 오른쪽 사면에 자라며, 사면의 밑부분은 절벽 비슷하게 급한 암면으로 되어 있다. 천연기념물 지정 당시에는 달성의 측백수림이라 하였다가 대구 도동 측백나
대구계산동성당 / 大邱桂山洞聖堂 [종교·철학/천주교]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 있는 대구대교구 주교좌성당. 사적 제290호. 1886년 로베르(Robert,A.P.) 신부가 경상도지역의 전교책임을 맡고 대구로 부임 1897년 현재의 계산동성당의 대지를 구입하여 1899년 한식 목조 십자형의 성당을 신축하였다. 이듬해 화재
대구광역시 / 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한 광역시. 동쪽은 경상북도 경산시, 서쪽은 경상북도 성주군과 고령군, 남쪽은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 창녕군, 북쪽은 경상북도 칠곡군과 군위군 및 영천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38'∼127°00', 북위 35°03'∼35°15'이다
대구국제공항 / 大邱國際空港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에 있는 국제공항. 1961년 4월부산비행장 대구사무소로 출발하여 1962년 7월에 대구비행장으로 개항하였다. 1990년 6월부터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서 공항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국내선은 1961년 4월대한국민항공사가 김포(서울
대구군읍지 / 大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대구군(현 대구광역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대구부읍지(大邱府邑誌)』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
대구달성동유적 / 大邱達城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생활유적 위에 삼국시대의 토성이 자리잡은 유적. 원삼국시대의 유적은 1917년 일본인 도리이(鳥居龍藏)에 의해 토성의 동쪽 입구, 북쪽 성벽 밑, 토성 내의 중심부, 그리고 북쪽 성 바깥으로 이어지는 구릉에서 처음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