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대견훤기고려왕서 / 代甄萱寄高麗王書 [문학/한문학]
927년(경순왕 1)최승우(崔承祐)가 후백제왕 견훤(甄萱)을 대신하여 지어 고려 왕건(王建)에게 보낸 서신. 927년(경순왕 1) 최승우(崔承祐)가 후백제왕 견훤(甄萱)을 대신하여 지어 고려 왕건(王建)에게 보낸 서신. 『삼국사기』 권50 견훤열전, 『고려사』 세가 권
대경도 / 大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107명(남 598명, 여 50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96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섬 북쪽의 외동마을과 중앙의 내동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1㎢, 밭 0.87
대경유집 / 大經類輯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병선이 왕도의 치정(治政)을 치도·치법·치교로 분류하여 논술한 정치서. 6권 3책. 필사본. 1887년에 쓴 저자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는 치도편으로 총 9장, 권3·4는 치법편으로 총 10장, 권5·6
대계문집 / 大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이승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록 1책, 본집 36권 16책, 속집 6권 3책, 총 42권 20책. 신연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본집 권1∼3에
대계문집 / 大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주정의 시·서(書)·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를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헌종연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58수, 소 2편, 권2에 서(書) 57편, 권
대계서원 / 大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던 조선시대 서원.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훼철과 복설이 거듭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안방준 사우에 대한 훼
대계유고 / 大溪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재영의 시·서(書)·제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7권 4책. 목판본. 저자의 조카 병흠(炳欽)이 흩어진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헌구(申獻求)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 등
대계집 / 大溪集 [종교·철학/유학]
대계 황재영의 문집. 목판본. 7권 4책. 조카 병흠이 유고를 모아 신헌구에게 서문을 부탁하여 짓게 했다. 발문은 없다. 권1은 사 1편, 시 157제 198수, 소 1편이 있다. 권2~4까지는 서 147편, 권5에는 서 9편, 기 9편, 발 14편, 잡저 6편이 있다
대곡유고 / 大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석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1902년 김석구의 동문 기우만(奇宇萬)·정재규(鄭載圭) 등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서문과 권말에 최숙민(崔琡民)·김창우(金昌宇)의 발문이 있다.
대곡집 / 大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인 성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03년에 간행한 시문집. 『대곡집(大谷集)』은 1596년(선조 29) 성운의 문인이자 처조카인 김가기(金可幾)가 성운의 시들을 수집하여 간행을 기획했지만, 완성하지 못한 것을 김가기의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1603년(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