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 唐津三月里─ [과학/식물]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삼월리에 있는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제317호. 높이 18.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5.54m인 노거수로서 가지가 균형있게 발달되어 수관(樹冠: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이 아름답다. 나무의 나이는 700년 정도로 추

  • 당진시 / 唐津市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삽교천을 경계로 아산시, 서쪽은 서산시, 남쪽은 예산군, 북쪽은 아산만을 경계로 경기도 평택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25'∼126°51', 북위 36°44'∼37°03'에 위치한다. 면적은 695.48㎢이다. 인구는 16만

  • 당진연의 / 唐晉演義 [문학/고전산문]

    중국소설 『대당진왕사화(大唐秦王詞話)』의 번역본. 『대당진왕사화』는 전체 64회로 구성된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저자는 명(明)의 제성린(諸聖鄰, 생몰년 미상)으로 알려져 있을 뿐,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다. 판본은 명대(明代)와 청대(淸代)에 여러 번 간

  • 당진합덕제 / 唐津合德堤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있는 저수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70호. 합덕방죽에 연꽃이 만발하였을 때의 아름다움에서 유래한 것이다. 평지에 축조된 거대한 제방은 높이가 7∼8m가 넘으며 원래는 토축으로 만들어졌던 것 같으나 석축으로 보수된 부분이 적지 않다. 김제의

  • 당진향교 / 唐津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여러 번 중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제기고(祭器庫) 등이 있다

  • 당천집 / 唐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한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두에 저자의 자서와 권말에 이용희(李龍禧)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55수, 만사 94수, 고시(古詩) 18수, 권2에 서(書) 4편, 권3에 서(序) 32편, 권4

  • 당초문 / 唐草文 [예술·체육/공예]

    식물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장식무늬. 당초는 본래 당풍(唐風) 또는 이국풍(異國風)의 덩굴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당초문계 장식요소는 민족의 조형양식의 특질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으로, 각기 그 발생지역에 따라 특성을 달리하여 그 지역의 문화적 성격

  • 당촌집 / 塘村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99년 후손 일현(逸炫)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근수(宋近洙)의 서문과 권말에 기우만(奇宇萬), 후손 호현(皓炫)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

  • 당태종전 / 唐太宗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이 작품은 당태종이 저승을 왕래한 이후 불교를 믿게 되었다는 이야기의 불교계 소설이다.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여 환상을 보여줌으로써, 불교적인 입장에서 인간을 불행으로부터 행복으로 인도하려고 한 의도를 가진 작품이다. 여기서 특

  • 당포앞바다승첩지도 / 唐浦─勝捷地圖 [지리/인문지리]

    1604년 임진왜란 때 승리한 당포해전을 기념하여 공신들에게 하사한 지도. 고지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세로 150㎝ 가로 80㎝. 비단에 그린 채색 필사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승리한 당포해전을 기념하여 국가에서 공신들에게 하사한 기록화이다. 당포는 경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