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당오전 / 當五錢 [경제·산업/경제]

    1883년 2월에 주조되어 1894년 7월까지 유통되었던 화폐. 명목 가치는 1문전 상평통보 5배, 실질 가치는 상평통보의 약 2배에 지나지 않았다. 당오전의 가치가 이처럼 폭락하자, 지방관들은 이를 이용해 조세를 양화인 상평통보로 징수해 악화인 당오전으로 바꾸어 내는

  • 당원 / 黨源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당쟁에 관한 내용을 서술한 역사서. 건(乾)·곤(坤) 2책. 필사본.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에서 1721년(경종 1)의 신임사화까지의 대요를 기술한 책이다. 책머리에 ‘당론원류지도(黨論源流之圖)’라 하여 당파를 도표로 표시하고, 분파명과 영수명(領袖

  • 당음 / 唐音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서당에서 익히던 한시 교재. 1권 1책. 목판본. 우리의 한문독음은 중국과 달라서 사성(四聲)이 구분되지 않는다. 그래서 표점을 찍어 평측을 따로 익혀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는 ●표를, 평측에 통용되는

  • 당의 / 唐衣 [생활]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 당의는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으로 평복 위에 입었으며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전래된 단배자(短背子)가 배자저고리로 변하였다가 다시 숙종 이후 조선 말기의 당의와 같은 제도가 이루어진 것 같다. 당의에 영향을

  • 당의통략 / 黨議通略 [역사/조선시대사]

    개항기 문신·학자 이건창이 붕당정치사에 관하여 저술한 역사서. 1575년(선조 8)에서 1755년(영조 31)까지의 약 180년간을 대상으로 하여 당론(黨論) 전개의 줄기를 잡고, 머리에 자서(自序), 말미에 원론(原論)을 붙였다. 자서에 따르면, 할아버지 시원(是遠

  • 당쟁차탄가 / 黨爭嗟嘆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덕일(李德一)이 지은 시조. 첫 번째 작품 제13장에서는 “힘써 하는 싸움 나라 위한 싸움인가/옷밥에 묻혀 있어 할일 없어 싸우누나.” 하여 당쟁을 먹고 입는 일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할 일 없어 하는 싸움으로 규정하였다. 여섯 번째 작품 제18장에서는

  • 당저등극시연설 / 當苧登極時筵說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실기문학(實紀文學). 1권(20장). 한글궁체로 된 필사본. 헌종이 죽은 1849년(헌종 15) 6월 6일부터 철종이 즉위한 6월 9일 사이에 일어난 일을 기록한 것이다. 후기(後記)에 철종이 즉위하던 해의 8월 계동월방에서 친교로 마

  • 당주서원 / 溏注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공배리에 있었던 서원. 1581년(선조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노진(盧禛)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당주(溏洲)’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별사(別祠)에는 정희보(鄭希輔)를

  • 당주집 / 鐺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1권 7책. 연활자본. 1931년 6대손 치룡(致龍)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과 홍종헌(洪鍾獻)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치룡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당직청 / 當直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 소속의 특수관서. 신문고의 관리와 그에 따른 소송사무를 담당하였다. 1402년(태종 2) 신문고가 설치된 뒤 1414년 이를 관리하는 전담기구로 설치되었다. 1505년(연산군 11) 밀위청으로 개칭되었으나 1506년 중종반정 뒤 다시 당직청으로 고쳤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