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기관단체 > 학교 총 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기관단체 > 학교
국자학 / 國子學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식. 인종 때 관학진흥책의 일환으로 식목도감에서 상정한 국자감 학식에 의하면, 국자감에는 유교 경전을 교육하는 국자학·대학·사문학과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서학·산학 등 여섯 개의 학식이 있었고, 이를 경사육학이라 하였다.
국자학생 / 國子學生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의 학생. 산학(算學)의 6개 전문학과로 나뉘어 학업을 닦았다. 이 가운데 앞의 셋은 모두 유교의 경전과 문학을 전공하는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학과의 구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학생의 신분에 따른 구별이었다.
국학 / 國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앙에 있었던 교육기관. 국학은 992년(성종 11)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서 국자감으로 개편되었다가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자감을 국학으로 고치면서 관원으로는 대사성·전주·사예를 두었다. 그 뒤 1298년에 다시 성균감으로 고쳤다.
대학 / 大學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식. 국자감에는 유교 경전을 교육하는 국자학·대학·사문학과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서학·산학 등이 있었다. 이를 경사육학이라 하였다. 국자학·대학·산학은 교과과정 등이 모두 같고 단지 입학자격에 차이가 있었다. 대학에는 문무 5품
동서학당 / 東西學堂 [교육/교육]
1261년(원종 2) 강도에 설치된 중등 정도의 관립교육기관. 유학의 진흥을 위하여 지방 향교에 대신하여 중앙의 동쪽과 서쪽에 설립되었다. 개경으로 환도한 지 2년째인 1272년에는 그 운영책임자격인 별감을 각 1인씩 임명하였다. 동서학당은 중국에서도 볼 수 없는 고
무관학교 / 武官學校 [역사/근대사]
1896년 1월 무관학교 관제에 따라 초급 무관 양성을 위해 설치된 근대적인 군사 교육 기관. 1896년 1월 무관학교 관제 공포와 함께 무관학교가 설립되었다. 무관학교는 설립된 지 한 달 만에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무용화되었다. 1897년 2월 고종이 환궁한 뒤 대한제
배재학당 / 培材學堂 [교육]
1885년(고종 22) 8월 5일 미국 감리교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현대식 중고등 교육기관. 오늘날 배재중.고등학교 전신이다. 처음에는 학생 2명으로 시작, 고종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친필 간판까지 하사받고, 그해 10월 학생수가 20명으로
보통학교 / 普通學校 [교육/교육]
1906년 '보통학교령'에 따라 설치된 초등교육기관. 구한말 신학제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변경하였다. 을사조약이후 통감부는 각종 법령을 반포하고 우리 나라 교육에 관하여 통제를 가하였다. 종래의 5-6년제 소학교를 4년으로 단축하고, 심상과와 고등
사범학교 / 師範學校 [교육/교육]
개화기 이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 설치되었던 초등교원 양성기관. 1895년 4월 교사양성을 목적으로 '한성사범학교관제'가 제정공포되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식 학교법규이다. 1911년에 일제는 '조선교육령'을 반포하여 사범학교를 폐지, 관립고등보통학교에 1년제 사
상고 / 商高 [교육/교육]
학교기관. 주로 상업에 관한 지식과 기술 등의 전문 교육을 하는 실업 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