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공음전 / 功蔭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관료에게 지급되어 세습이 허용된 토지. 고려시대 전시과체제에 의하여 토지가 운용되었으므로, 토지수급자가 죽거나 관직에서 물러날 때는 그 토지를 반납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음전은 세습이 허용되었다.

  • 공전 / 公田 [경제·산업/경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인 수조권이 국고·왕실 혹은 기타 국가의 공적 기관에 귀속되었던 토지. 때로는 이들이 소유하고 있던 국유지·관유지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 공조서 / 供造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초기 왕이 쓰는 기물과 장식품의 제조를 감시하고 수지를 관장하였던 관서. 고려 목종 때 중상서를 설치하였고, 문종이 직제를 정하여 영 1인, 승 2인을 두고, 이속으로는 사 6인, 기관 2인, 산사 2인을 두었다.

  • 공주 갑사 승탑 / 公州甲寺僧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고려시대 에 건립된 석조 불탑.부도. 보물. 보물 제257호. 높이 2.05m. 현재 갑사 중심부에서 벗어나 계곡을 건너 남쪽 경내에 있으나 본래는 갑사의 뒤쪽 계룡산중에 있었던 것이다. 원위치에 쓰러져 있던 것을 1917년 현위치로

  • 공주구룡사지 / 公州九龍寺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고려시대 유물과 유적이 출토된 사찰터.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39호. 지정면적 10,599㎡. 이 사지는 사역으로 추정되는 범위에 당간지주뿐만 아니라 사찰 관련 건물의 유구가 도처에 산재되어 있어 1990년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 공판도감 / 供辦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진헌해 온 물품을 보관하거나 국가행사에 필요한 물품을 공판을 관장하던 임시관서. 보원해전고(寶源解典庫)와 관련이 있는 관부였다. 1373년(공민왕 22) 왕이 노국공주의 능인 정릉과 혼전인 인희전(仁熙殿)에 설치하였다.

  • 공해전 / 公廨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관청의 공비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고려사≫식화지 서문을 보면, 공해전의 지급을 받은 관청은 장택·궁원·백사·주현·관역 등으로 되어 있다. 공해전은 관청에 분급된 전시과의 특수형태로 이해되는데, 전형적인 것은 중앙 및 지방의 관청에 지

  • 과의 / 果毅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군관직. 본래 절충도위와 함께 평시에는 농업에 종사하고 전시에는 군복무에 임하는 당나라 부병제도하의 관직으로, 지방의 절충부(折衝府) 소속 무관직이었다.

  • 곽산 / 郭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정주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려의 장리현(長利縣)인데, 994년(성종 13) 성종이 평장사(平章事) 서희(徐熙)에게 명하여 이곳에 살던 여진족을 쫓아내어 성을 쌓게 하고, 군사상 요지로서 곽주라 칭하여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 관경소기 / 觀經疏記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통이 『관경소』를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관경소기』는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의 하나인 『관무량수경』의 주석서이다. 이 경전은 정토·불신(佛身)·인간에 대해 관찰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이 책은 그의 제자 지례가 저술한 『묘종초(妙宗鈔)』의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