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총 50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조선시대사
경상도무신창의사적 / 慶尙道戊申倡義事蹟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에서 무신난 당시 창의한 내용의 전말을 기록하여 1728년에 제작한 역사서. 주가 되는 것은 경상도무신창의사적으로 안동·상주·예천·순흥·영천(榮川)·의성·예안·풍기·영천(永川)·진보·영양·봉화·용궁 등 13개 지역의 창의사적이 수록되어 있다. 각 지
경상도산음장적 / 慶尙道山陰帳籍 [역사/조선시대사]
1606년과 1630년 경상도 산음현(현 산청군)에서 관내의 호구를 조사하여 면리별로 정리하여 엮은 관찬서.호적대장. 『산음장적』은 파손된 부분이 많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체적으로는 17세기 전반 당시 산음현 전 지역을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경세유표 / 經世遺表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행정기구의 개편을 비롯한 관제·토지제도·부세제도 등 모든 제도의 개혁원리를 제시하여 1817년에 저술한 정책서. 제1책(권1∼3)과 제2책(권4∼6)은 천관이조(天官吏曹)·지관호조(地官戶曹)·춘관예조(春官禮曹)·하관병조(夏官兵曹)·추관형조(秋官
경세지장 / 經世指掌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계희가 『황극경세서』의 상수학적 원리에 따라 만든 도표에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도설서.역사도해서. 일종의 역서(曆書) 혹은 역사 연표이다. 2권 1책. 목판본. 1758년(영조 34) 간행되었다. 권1에는 북송의 소옹(邵雍)이 쓴 『황극경세서(皇極
경연 / 經筵 [역사/조선시대사]
국왕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는 일. 국왕에게 경사(經史)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실제로는 왕권의 행사를 규제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경연고사비례 / 經筵故事比例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김종수가 경연에서 강의하고 토론한 내용을 조목별로 편집한 강론집.역사서. 1권. 필사본. 저자가 1778년(정조 2) 4월 20일 왕에게 바쳤다. 처음의 제목은 『경연고사』였다.내용은 18조목의 교훈으로 입지(立志)·진학(進學)·극기(克己)·납간(納諫)·
경연일기 / 經筵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사관이 경연에서 강의하고 토론한 내용을 기록한 일지.공무일기. 1475년( 성종 6)부터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내용은 그날 강독한 책의 제목, 강독범위, 왕과 신하들의 토론 등이었다. 토론내용은 강독한 부분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정치전반에 관한 의견교환도 포
경운궁갱재록 / 慶運宮賡載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왕세손 및 대신들과 나눈 창화시를 수록하여 1773년에 간행한 시집. 1책. 갱재는 임금의 시에 화답하여 시를 지음을 뜻한다.1773년(영조 49) 10월 1일은 임진왜란으로 선조가 의주로 파천하였다가 환도한 지 180년(三甲子)이 되는 날
경의군 / 敬義君 [역사/조선시대사]
1719(숙종 45)∼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추존왕. 영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고, 사도세자의 형이며, 비는 좌의정 조문명의 딸 효순왕후이다. 1724년(영조 즉위년) 경의군에 봉하여지고, 이듬해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 나이 10세에
경인갱운첩 / 庚寅賡韻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대신 및 공신의 후예들과 나눈 창화시를 수록하여 1770년에 간행한 시집. 1첩. 필사본. 1590년(선조 23) 명나라 역사책에 조선왕조인 이씨세계(李氏世系)를 잘못 기록한 점을 고치게 된 뒤 그 공으로 윤근수(尹根壽) 등 19인에게 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