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답동본당 / 沓洞本堂 [종교·철학/천주교]
천주교 인천교구의 주교좌 본당.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본당이다. 1889년에 고딕식으로 본당이 설립되었으며, 1933년 개축을 시작하여 1937년에 완공하였다. 이 본당은 인천교구가 1967년 설정되고, 1962년 교계제도가 설정됨으로써 대목구에서 주교구로 승격되자,
답동산가침박달군락 / ─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서흥군 봉하리에 있는 가침박달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175호. 가침박달 군락은 석현역에서 약 1.5㎞ 정도 떨어진 봉하리 농골부락 답동산의 서북 비탈면에 퍼져 있다. 산의 비탈도는 10∼15도 정도이다. 주변에는 조팝나무·싸리나무·옻나무·
답문유편 / 答問類編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기정진이 지인들과 서찰로 나눈 학문적 내용을 분류해 엮은 문답서. 1891년(고종 28) 기양연(奇陽衍)·정재규(鄭載圭)·정의림(鄭義林) 등의 문인들에 의해 목활자본으로 편집·간행되었고, 1902년 경상남도 단성의 신안정사(新安精舍)에서 목판본으로 중간
답사친가 / 答思親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358구이며, 음수율은 3·4조와 4·4조가 지배적이고, 2·4조와 2·3조가 드물게 나타난다. 내용은 만리이역에서 온 할머니의 서간을 받은 반가움에 이어서 망국의 비운을 차탄하고, 두번에 걸친 친정의 만주망
답사행가무 / 踏沙行歌舞 [예술·체육/무용]
고려 문종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고려사』악지(樂志)에 1073년(문종 27) 2월 을해에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진경(眞卿) 등 13인이 답사행가무를 연등회(燃燈會)에서 공연하기로 임금에게 허락을 얻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답사향곡 / 答思鄕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광산김씨(光山金氏)가 지은 규방가사. 이 작품은 작자의 출가한 시누이가 1800년경에 지어 보낸 「사향곡(思鄕曲)」에 대한 답가로 서간적 성격의 문답가 중의 답가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의산문고에 있는 「사향곡(思鄕曲)」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미산관 졔월
답산가 / 踏山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국한문 혼용체. 필사본인 『산서회수(山書會粹)』에 29번째 항에 실려 있다. 풍수지리에 대해 노래하였다. 전체 분량은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367행이며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내용은 크게 나누어 주산론(主山論)·청룡백호론(靑龍白虎論)
답산록 / 踏山錄 [종교·철학/도교]
삼국시대 신라 승려 도선이 산세와 물길에 따라 국가의 운명이 결정된다는 내용으로 서술한 가사집. 첫머리에 사험결(沙驗訣)을 비롯하여 주마육임정국(走馬六壬定局)·통천규첩법(通天窺捷法)·산도(山圖)·답산가·설심부(雪心賦)·마상시(馬上詩)·금낭시(錦囊詩)·지리종지(地理宗旨
답상장 / 答上狀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남편의 편지를 받고 그에 대한 답장으로 상장은 '공경하는 뜻이나 조상(弔喪)하는 뜻을 나타내어 올리는 편지'이다.
답이생서 / 答李生書 [문학/한문학]
1610년(광해군 2)경에 허균(許筠)이 쓴 서간문. 한문필사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10 문부(文部)7에 수록되어 있다. 시 평론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답이생서」는 한편의 서간이지만 한국의 시인 42인을 정확하고 조리 있게 논평하였으므로, 허균의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