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담정유고 / 覃庭遺藁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김로(金鑪) 저, 목활자본, 간사년 미상, 12권 6책. 표제와 판심제는 담정고(覃庭遺藁)이다. 담정 김로의 유고집이다. 1-5책과 6책의 표지가 상이하다.

  • 담제 / 禫祭 [정치·법제]

    상례에서 초상으로부터 27개월 되는 때에 지내는 제사. 초상에서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27개월째에 지내는 제사이다. 다만 상제 후 있는 윤달은 계산한다. 내상인 경우에는 초상에서 15개월이 되는 달에 거행하는데 이때에도 상제 이후 윤달은 달수에 넣는다. 담제 때에는

  • 담총외기 / 談叢外記 [교육/교육]

    조선후기 실학자의 한문 단편소설 및 아동교육론 등을 엮은 종합서. 1책 23장(張). 필사본. 저자 및 연대는 미상이다. 책의 전반부에는 박지원(朴趾源)의 저작물인 <호질 虎叱>·<허생전 許生傳>·<열녀전 烈女傳>·<양반전 兩班傳> 등이 실려 있다. ≪담총외기≫를 박

  • 담팔수 /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cus (THUNB.) HARA [과학/식물]

    담팔수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학명은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cus (THUNB.) HARA이다. 높이는 20m에 달하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피고 희며 총상(總狀)으

  • 담허재집 / 澹虛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지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5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1895년(고종 32) 후손 종술(鍾述)이 편집, 송병선(宋秉璿)이 교열, 8세손 낙린(洛麟)·낙리(洛鯉)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종현(閔鍾顯)의 서문과 권말에 낙리 등의

  • 담헌서 / 湛軒書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洪大容)의 시문집. 15책. 필사본. 작자의 사상과 문학에 관한 중요한 부분을 열거해보면, 내집 권1의 심성문(心性問)·사서문변(四書問辨)·삼경문변(三經問辨), 권2의 사론(史論)·계방일기(桂坊日記), 권3의 서(書)·시, 권4의 임하경륜(林

  • 담헌연기 / 湛軒燕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홍대용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연경에 다녀온 후 1766년에 작성한 견문록. 6권 6책. 필사본. 1765년 11월부터 이듬해 봄까지 저자의 작은아버지 억(檍)이 삼절연공 겸 사은사(三節年貢兼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연행할 때 그를 수행하면서 견문

  • 담헌집 / 澹軒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하우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0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두에는 이가원(李家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간행 경위를 적은 이장한(李章漢)·정태수(鄭泰秀)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335수, 권3·4에 서(書) 100편, 권

  • 답기슈가 / 答淇水歌 [문학/고전시가]

    1867년경 서흥 김씨가「기수가」에 대한 답가로 지은 규방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103행이고, 서사(19행)·본사(80행)·결사(4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답기수가」에서 서흥 김씨는 시누이의 의견과는 상반된 견해를 드러내었다. 서사(19행)인

  • 답당설총관인귀서 / 答唐薛摠管仁貴書 [문학/한문학]

    671년(문무왕 11)에 지은 당나라의 행군총관(行軍摠管) 설인귀(薛仁貴)의 서신에 대한 작자 미상의 답서(答書).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7 문무왕조와 『동문선』 권 57에 실려 있다. 「답당설총관인귀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는 당나라의 은의를 입고 여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