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 潭陽鳳安里銀杏─ [과학/식물]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에 소재한 은행나무. 2007년 8월 9일에 천연기념물 제482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 높이는 1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북쪽 가지가 8m, 남쪽 가지가 1.24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22.5m,
담양 식영정 일원 / 潭陽息影亭一圓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는 명승. 담양 식영정(息影亭) 일원은 무등산 북쪽 사면에 위치한 광주호의 상류에 위치한 정자를 중심으로 하는 원림으로서, 성산(星山)의 한 자락을 이루고 있는 지형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담양십경의 하나이며, 2009년 9월 18일
담양 용흥사 동종 / 潭陽 龍興寺 銅鍾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담양군 용흥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1555호. 동종은 담양 용흥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제작 연대와 주종장에 대한 명문이 남아있다. 종의 고리는 용머리가 모두 4개이며, 두 마리만 몸체가 있어 고리를 만들고 여의주를 받들고 있는 형상이다. 천
담양경상리느티나무 / 潭陽京相里─ [과학/식물]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경상리에 있는 느티나무. 전라남도 기념물 제141호. 경상리의 느티나무는 마을 남쪽 골짜기 가파른 언덕위에 왕대나무숲에 이웃해서 서있다. 높이 35m, 가슴높이줄기둘레 7.9m, 수관 폭 40m,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담양군 / 潭陽郡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북단에 위치한 군. 동쪽은 곡성군, 서쪽은 장성군, 남쪽은 광주광역시와 화순군, 북쪽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51′∼127°07′, 북위 35°07′∼35°28′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455.05㎢이고, 인구는 4만 7009명(201
담양군읍지 / 潭陽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담양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 1매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연간에서 순조 연간에 걸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담양부읍지』와 연대 미상의 『담양읍지
담양댐 / 潭陽─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대성리에 있는 댐. 영산강유역농업종합개발 1단계사업의 일환으로 1973년 8월부터 1976년 9월 사이 농업진흥공사가 건설하였다. 영산강 1단계의 4개댐 가운데 가장 높은 댐으로 높이 46m, 길이 306m, 부피 168만㎥의 경사 코어형 필댐(
담양문학리지석묘 / 潭陽文學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문학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고인돌의 덮개돌[上石]은 296×170×30㎝의 삼각형으로 장축(長軸)은 남북방향이다. 받침돌[支石]은 한쪽 편만 있고 다른 두 편은 경사면에 기대어 있다. 유물은 하부구조 내의 점토층에서 출토되었는데, 출토된
담양습지 / 潭陽濕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강의리·태목리, 봉산면 와우리, 수북면 황금리 및 광주광역시 북구 용강동 일대에 있는 영산강 상류의 하천습지. 2003년 5월에 담양군은 담양습지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건의하였다. 2003년 6월부터 11월까지 국립환경연구원(현 국립환경
담양오충정려 / 潭陽五忠旌閭 [사회/가족]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있는 조선후기 박천붕과 네 아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16호. 임진왜란 때 순절한 밀양인 박천붕(朴天鵬)과 그 뒤 병자호란 때 선친의 유훈을 받들어 싸우다가 순사한 네 아들, 즉 장남 박원겸(朴元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