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달천 / 疸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俗離山, 1,058) 부근에서 발원하여 괴산군을 지나 충주시 서쪽에서 남한강에 합류되는 하천. 남한강 수계의 최남부에 있는 지류로, 길이는 약 116㎞. 괴산군 칠성면의 쌍천(雙川)과의 합류지점까지 40.2㎞는 지방하천이다. 충주에서 서북쪽으로
달천구천 / 達川龜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에 있는 샘. 창원시 의창구에 있는 천주산의 북동쪽 산기슭에서 발원하는 깊은 계곡 속의 샘으로서, 주위는 짙은 산림으로 드리워져 있고, 샘물은 맑은 데다 여름철에도 얼음장과 같이 차다. 1975년 2월 12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32호로
달천도 / 疸川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복산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22명(남 65명, 여 5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50세대이다. 취락은 주로 남쪽의 달천마을에 모여 있으며,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한다. 농산물로는 고구마가 많이 나며, 쌀·보
달천몽유록 / 達川夢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윤계선(尹繼善)이 지은 한문소설. . 1책. 필사본. 성암문고본(誠菴文庫本) <수성지 愁城誌>와 합철 되어 있는 고려대학교 도서관본,, 조경남(趙慶男)이 쓴 ≪난중잡록 亂中雜錄≫ 수록본 등 3종이 있다. 저작연대는 소설의 처음에 ‘만력경자지춘(萬曆庚子之春)
달천온천 / 疸泉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신천군 초리면 달천리에 있는 온천. 구월산에 접하여 있는 높이 687m의 아사봉에서 발원하여 구월천으로 흘러가는 지류인 달천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역적인 지열유량은 40∼60mWm-2를 나타내며, 내륙의 평지에 있으며 달천온천요양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요양소가
달풀이 [문학/구비문학]
정월부터 12월까지 매달의 상황에 맞게 노래로 부르는 민요. 달풀이노래로 처음 나타난 것은 고려가요인 「동동(動動)」이며, 서곡 1장과 열 두 달을 각각 노래한 12장을 합하여 모두 13장으로 되어 있다. 계절의 변화와 명절의 감회를 읊은 노래로, 그 이전부터 전승되어
달홀 / 疸忽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고성 지역의 옛 지명. 568년(진흥왕 29)신라가 빼앗아 달홀주(達忽州)를 만들고 군주(軍主)를 두었는데, 이 때 황초령과 마운령 등에 순수비(巡狩碑)를 세웠다. 757년(경덕왕 16) 지방관제 개혁시 지금의 이름인 고성으로 고쳐서 군으로 되었다. 달홀은 고성
닭갈비 / Dakgalbi [생활/식생활]
양념고추장에 재워 둔 닭갈비를 양배추·고구마·당근·파와 함께 볶는 음식. 춘천 닭갈비의 역사는 1960년대 말 선술집에서 숯불에 굽는 술안주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김영석(金永錫)씨가 중앙로에 돼지구이를 팔다가 어느 날 닭 2마리를 사서 돼지갈비처럼 양념에 재웠다가 숯불
닭싸움 [생활/민속]
닭끼리 싸움을 붙여서 이를 보고 즐기거나 내기를 거는 놀이. 제주도에서는 ‘씨왓붙임’이라고도 한다. 광복 전까지는 거의 전국에서 행하여졌다. 싸움닭의 종류로는 인도산의 ‘샤모’, 일본산의 ‘한두’, 그리고 한두와 재래종의 사이에서 난 ‘우두리’ 등이 있는데 싸움닭은 수
닭잡기 [생활/민속]
살쾡이가 닭을 잡는 과정을 흉내내어 즐기는 아이들놀이. 놀이방법은 먼저 가위바위보를 하여 닭과 살쾡이를 정하는데, 꼴찌의 아이가 살쾡이가 되고, 꼴찌에서 두번째 아이가 닭이 된다. 나머지 아이들은 손과 손을 잡고 둥글게 둘러앉는다. 이때 닭은 원 안에 들어가고, 살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