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달사 / 達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세자 혹은 왕세손이 섭정할 때 왕에 대하여 한 등급 낮추는 의미로 왕에게 올리는 계사(啓辭)를 지칭하는 용어. 계사를 달사로 하는 것 이외에 섭정시에는 계본(啓本)을 신본(申本)으로, 장계(狀啓)를 장달(狀達), 계목(啓目)을 신목(申目), 상소를 상서(上
달서구 / 達西區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서남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 남구 대명동, 서쪽으로 달성군 다사읍과 고령군 다산면, 남쪽으로 달성군 가창면과 화원읍, 북쪽으로 서구 내당동과 접하고 있다.동경 128° 28′~128° 44′, 북위 35° 47′~35° 51′에 위치하며, 면적은 6
달서재문집 / 達西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의병 채선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1912년 성산(城山)에서 7세손 정규(廷奎)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홍경(鄭鴻慶)의 서문과 권말에 김유헌(金裕憲)·목태석(睦台錫), 8세손 도(濤), 노상직(盧相
달성 비슬산 암괴류 / 達城琵瑟山岩塊流 [지리/자연지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리 비슬산 일대에 있는 암괴류. 암괴류란 암석 덩어리들이 집단적으로 흘러내리면서 쌓인 것을 말한다. 달성 비슬산 암괴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거석들로 이루어졌으며, 특이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어 2003년 12월 13일에 천연기념물 제435
달성광산 / 達城鑛山 [경제·산업/산업]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었던 중석광산(重石鑛山). 달성광산은 파이프상·망상광상(網狀鑛床)으로 1916년강원도 영월의 상동광산(上東鑛山)과 함께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하여 경영될 때는 부진하였다가 광복과 동시에 중석광산으로 본격적으로 개
달성군 / 達城郡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서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성주군·고령군, 남쪽은 청도군·경상남도 창녕군, 북쪽은 칠곡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21′∼128°42′,북위 35°36′∼35°56′에 위치한다. 면적은 426.67㎢이고,
달성부원군잠성부부인사우견근시치제문 / 達城府院君岑城府夫人祠宇遣近侍致祭文 [역사/조선시대사]
치제문. 1791년(정조 15) 12월 7일, 정성왕후의 100번째 생신을 맞이하여 그 아버지 달성부원군 서종제(徐宗悌)와 어머니 잠성부부인(岑城府夫人) 이씨에게 치제하기 위해 정조가 지은 제문이다. 자신이 어렸을 때 정성왕후가 애지중지하였음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그
달성산업단지 / 達城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과 현풍면에 있는 산업단지. 구마고속도로 연변에 건설된 지방공업단지로서 대구 중심부에서 27㎞, 현풍에서 3.2㎞ 지점에 있다. 이 단지는 대구의 섬유공업과 창원의 기계공업 등 두 공업지역을 연결하는 연관공업을 유치, 발전시키기 위하여 1979년
달을성 / 疸乙城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고양 지역의 옛 지명.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달을성이 백제 때의 고양시의 옛 이름으로 되어 있다. 475년(문주왕 1) 고구려장수왕의 남침에 의하여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고, 757년(경덕왕 16) 고봉(高峰)으로 고쳐 교하군(交河郡)의 영현이 되었다. 10
달전 / 達全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승려·시인. 『동문선』에 시 6수가 실려 있다. 7언고시 4수와 7언율시 2수이다. 7언고시는 「연경 호천사의 9층대탑에 올라(登燕京昊天寺九層大塔)」 「이하의 장진주 운을 따라 짓다(次李賀將進酒韻)」 「여러 분들의 국화 시에 차운하다(次韻諸賢賦菊)」 「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