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달도가 / 怛忉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소지왕 때 지었다는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그 내력만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전한다.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소지왕 10년에 못에서 서(書)가 나오고, 사금갑(射琴匣)이라는 이변이 있었으며, 이어서 용·말·쥐·돼지와

  • 달도대전강령 / 達道大全綱領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인·학자 황필수가 유가경전 오륜의 내용을 12개의 대항목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유학서. 『달도대전강령(達道大全綱領)』은 조선말기 고종 때 유의(儒醫)인 혜람(蕙菴)황필수(黃泌秀: 생몰연대 미상)가 유가경전의 내용들 가운데서 오륜(五倫)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 달도집주대전 / 達道集註大全 [교육/교육]

    조선후기 문인·학자 황필수가 인륜대도에 관한 옛사람들의 글을 모아 1867년에 편찬한 문집. 3권 3책. 목판본. 편자는 『중용』의 구절에 나오는 달도(達道)를 책명으로 삼아 1867년(고종 4)에 완성하였는데, 뒤에 조카 지수(芝秀)가 집주(集註)하고 김기연(金耆淵

  • 달동네 / shantytowns|poor hillside village [사회/사회구조]

    도시 외곽의 산등성이나 산비탈 등 비교적 높은 지대에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동네. 달동네라는 이름은 높은 곳에 위치해 달이 잘 보인다는 뜻에서 붙여졌는데, 광복 이후 조국을 찾아 귀국한 동포들과 남북 분단 이후 월남한 난민들이 도시의 산비탈 등 외진 곳에 판잣집을

  • 달래 / Allium monanthum MAX. [과학/식물]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한자어로는 야산(野蒜)·소산(小蒜)·산산(山蒜)·소총(小摠)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족지·산마늘 등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지방에 따라 달링괴·달랑개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학명은 Allium monanthum MAX.이다. 잎은 가늘

  • 달래고개설화 [문학/구비문학]

    달래라는 지명에 얽힌 설화. 누이에게서 근친상간적인 성적 충동을 느낀 한 남동생이 스스로의 죄의식에 시달린 끝에 자살하였다는 지명에 얽힌 설화이다. 그 지역이 전국에 30여 곳이나 분포되어 있어 전국적인 전승을 보여 주는 전설이지만, 특히 충주 지방의 「달래강설화」가

  • 달량행 / 達梁行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그의 『옥봉시집 玉峯詩集』 하권에 실려 있다. 이 시는 작자가 을묘왜란의 참혹상을 직접 목격하고 난 뒤 뒷날 그 때를 회상하면서 지은 작품이다. 이 시의 구성을 보면, 도입부에서 달량성의 폐허의 모습과 그 당시 작

  • 달리도 / 疸里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는 섬.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292명(남 143명, 여 14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42세대이다. 취락은 사재산 동사면 기슭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섬의 동쪽과 북쪽 해안은 간척되어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된다. 토지이용 현

  • 달맞이꽃 / Oenothera odorata Jacquin. [과학/식물]

    바늘꽃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이 식물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으로 북아메리카·한국·일본·중국에 귀화하고 있는 귀화식물로 물가·길가·묵밭에 많이 난다. 학명은 Oenothera odorata Jacquin.이다. 포도주 향기가 나고 야생 동물들이 좋아한다는 뜻에서 붙여

  • 달본 / 達本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세자가 섭정한 경우 관원이 세자에게 올리는 문서. 관문서. 관원이 왕에게 올리는 계본(啓本)에 해당하는 문서로, 신본(申本)이라고도 하였다. 세자에게 올리는 글도 중요한 일은 ‘달본’으로 하고, 작은 일은 ‘달목(達目, 또는 申目)’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