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단천군 / 端川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의 동단부에 있는 군. 동쪽은 함경북도 학성군, 서쪽은 풍산군·북청군, 남쪽은 동해, 북쪽은 갑산군, 함경북도 길주군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경 128°27′∼129°04′, 북위 40°21′∼41°12′에 위치하며, 면적 2,385.71㎢, 인구 18만

  • 단천군지 / 端川郡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단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원(官員)·성씨(姓氏)·강계(疆界)·산천(山川)·토산(土産)·성곽(城郭)·관방(關防)·봉수(烽燧)·관우(館宇)·아사(衙舍)·창고(倉庫

  • 단천만지송 / 端川萬枝松 [과학/식물]

    함경남도 단천시 달전리에 있는 반송. 북한 천연기념물 제298호. 만지송은 반송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반송은 가지가 밑에서 많이 갈라져 퍼지므로 수관이 쟁반같이 생겼다고 반송으로 부르지만 가지가 많다고 만지송 또는 천지송, 가지가 퍼졌다고 퍼진소나무 등으로 부르

  • 단천절부시 / 端川節婦詩 [문학/한문학]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한시. 오언고시. 모두 212구 1,060자로 된 장편 서사시이다. 창작연대는 1679년(숙종 5)∼1680년경으로 추정되며, 그의 문집 『서포집(西浦集)』 권1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함경도 단천(端川) 관기(官妓)였던 일선(逸

  • 단천향교 / 端川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단천군(현재의 단천시)에 있던 향교.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초기에 창건되어,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4년(선조 37)에 중건하였으며, 이때 함흥으로부터 공자(孔子)의 화상을

  • 단청장 / 丹靑匠 [예술·체육/공예]

    목조 건축물에 채색을 하고 문양을 그리는 일을 하던 장인. 단청장(丹靑匠)은 전통 목조 건축물의 천장, 기둥, 벽과 같은 가구부재(架構部材) 위에 오방색의 기본 색채로 채색을 하고, 문양과 그림을 그리는 기능을 가진 장인이다. 단청은 목조 건축이 발달하면서 목재의 단점

  • 단체교섭권 / 團體交涉權 [사회/사회구조]

    근로자가 근로조건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집단적으로 교섭할 수 있는 권리. 제헌 헌법과 1953년에 제정된 노동조합법이 단체교섭권을 보장하였으나 5·16 군사혁명 이후 권위주의적 정부는 경제개발을 명분으로 이를 제한했다. 1970년에 제정된 「외국인 투자기

  • 단체행동권 / 團體行動權 [사회/사회구조]

    노동조합이 사용자에게 파업·태업 등의 수단으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여 요구 조건을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쟁의권. 단체행동권은 제헌 헌법에 보장되어 있으며, 1953년에 제정된 노동쟁의조정법에 따르면 공무원 가운데 노무를 제공하는 현업 공무원에게만

  • 단층 / 斷層 [지리/자연지리]

    암괴·지괴·지층 등이 지각에 미치는 압력에 의하여 열극을 중심으로 깨어져서 상대적으로 어긋나거나 미끄러지는 지각변동. 단층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와 내부 물질의 운동, 그 결과가 지표상으로 표출되면서 지표면에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이다. 지진과 화산에 수반되어

  • 단파방송밀청사건 / 短波放送密聽事件 [언론·출판/언론·방송]

    일제강점기 말기 방송국에 근무하던 직원들을 중심으로‘ 미국의 소리(VOA)’와 중경의 임시정부에서 보낸 단파 방송을 청취하여 전황을 비밀리에 전파하다가 많은 사람이 체포당했던 사건. 이 사건은 일제하의 방송이 일인 주도로 시작되었고 1930년대로 넘어오면서는 일본의 식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