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김언신관련고문서 / 金言愼關聯古文書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 김언신의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 종가문서. 김언신(1492∼1553)은 1532년(중종 27) 생원에 오른 후 경상도 밀양·청송·동래 등 7읍의 교수를 역임했다. 관련 고문서는 교지 8점으로, 2005년 5월 2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4호로 지정
김연광 / 金練光 [종교·철학/유학]
1524(중종 1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수련, 아버지는 영원군수 이상. 1555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리, 제용감첨정, 평양판관, 부현현감, 평창군수, 회양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암유고』 한권이 남아 있다.
김영 / 金瑛 [종교·철학/유학]
1475(성종 6)∼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계권, 아버지는 장령 영수, 어머니는 김박의 딸이다. 1506년(연산군 12) 별시문과에 정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수찬, 정언, 교리, 장령, 경상도재상경차관, 김제군수,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
김영렬 / 金英烈 [종교·철학/유학]
?∼1404(태종 4). 조선 전기의 무신. 1394년에 전서로 있던 중 그해 경기우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1395년에 수군절제사로 발탁되었다. 1400년(정종 2)에 지삼군부사로 있을 때에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태종을 왕위에 오르게 한 공으로, 1401년(태
김응남 / 金應南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충청도병마절도사 말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안우,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김덕유의 딸이다. 1567년 생원시에 합격, 1568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홍문관의 정자를 역임, 사가독서를
김응생 / 金應生 [종교·철학/유학]
1496(연산군 2)∼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학자 준. 13세의 어린 나이로 부친상을 당하여 시묘하자 고을사람들로부터 효성이 지극하다는 평을 들었다. 1549년(명종 4)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뒤 벼슬을 단념하고 향촌 교육에 뜻을
김의정 / 金義貞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1547(명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종석 증손, 할아버지는 군수 휘산, 아버지는 공조참판 양진, 어머니는 양천허씨로 서의 딸이다. 1526년(중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에 임명되고, 이어 수찬·정언·세자시강원사서에 이르렀
김이상 / 金履祥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수련. 154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직으로는 직강·사예·정자를 거쳐, 감찰·통례원통례를 역임, 외직으로는 덕천군수·영원군수를 거쳤다. 유집으로는『심적당송암경승재유고합편』이 전한다.
김익복 / 金益福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후손 증손, 할아버지는 석량, 아버지는 찰방 광. 15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도사·군수를 역임하였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광군수로 현감 임계영과 함께 인근의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김익정 / 金益精 [종교·철학/유학]
?∼1436(세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구 증손, 할아버지는 성목, 아버지는 한성부윤 휴, 어머니는 김효신의 딸이다.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문하부의 요직을 지냈고, 1409년(태종 9) 장령이 되었다. 헌납, 직제학, 우대언, 승정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