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단조법 / 段造法 [예술·체육/공예]

    금속에 열을 가한 상태에서 두들겨 조직을 밀도 있게 변성하거나 공예품을 성형하는 가공법. 주조법과 더불어 금속공예 성형에 대표적 기법이다. 금관총·금령총 등에서 발견된 금동합·금동고배·각배 등을 비롯하여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된 관·과대·요패 등은 대부분 이 기법으로

  • 단조사고 / 檀祖事攷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교적 중의 하나. 나철을 중심으로 한 몇몇 사람들의 공동저작이다. 본래 1911년 대종교협제회의 이름으로 순한문체로 발간되었으나, 1951년 '한배일살핌'으로 한글번역 출판되었다. 내편은 19항목으로, 외편은 17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단종대왕 왕위 사양 주문 / 端宗大王辭位奏文 [역사/조선시대사]

    단종대왕 왕위 사양 주문. 조선시대 6대 국왕인 단종(端宗)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사양하며 내린 문서로, 원문은《세조실록(世祖實錄)》1년(1455, 을해) 윤6월 29일(계유)조에도 보인다.

  • 단종대왕추상시호등망단 / 端宗大王追上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6대 국왕으로서 폐위되어 강등된 노선군에 대해 다시 왕위를 회복하면서 시호, 묘호, 능호를 추상하기 위해 1698년(숙종 24) 11월 빈청에서 올린 망단. 의정한 시호는 '순정안장경순돈효(純定安莊景順敦孝)' 이고 묘호는 '단종(端宗)'이며 능호는 '장릉(莊陵

  • 단종문화제 / 端宗文化祭 [생활/민속]

    강원도 영월에서 열리는 향토문화제. 4월 한식을 중심으로 3일간 행하여지며, 단종 유배지와 단종의 묘인 장릉이 있어 단종의 제향과 함께 문화제전을 거행한다. 1698년 이후 제향만 올리다가 1967년부터 문화행사와 병행하여 제1회단종제를 개최하였고, 그 뒤 명칭을 ‘단

  • 단종설화 / 端宗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6대 임금인 단종(端宗)에 관한 설화. 단종설화는 세계의 불가피한 폭거에 희생된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설화이다. 인물전설이기 때문에 세계의 폭거 앞에 좌절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그렇지만 역사 속에서 민중들이 거부할 수 없었던 기억을 인물의 상실과 패배로만

  • 단종실록 / 端宗實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전기 제6대 왕 단종의 재위 기간 동안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룬 실록. 1452년 5월부터 1455년 윤6월까지 단종의 재위 3년 2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루고 있다. 14권 6책. 정식 이름은 ‘노산군일기(魯山君日記)’이다. 표지에는 ‘端宗

  • 단종애사 / 端宗哀史 [문학/현대문학]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역사소설. 1928년 11월 30일부터 1929년 12월 1일까지 『동아일보』에 총 217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1972년 삼중당(三中堂)에서, 1979년 우신사(又新社)에서 발간한 『이광수전집』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작가가 민족정신

  • 단지문집 / 丹池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하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표지에 ‘丹池實記(단지실기)’라고 쓰여 있으나, 서문과 판심에는 ‘단지선생문집’으로 되어 있다. 1904년 후손 계효(啓涍)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

  • 단천광산 / 端川鑛山 [경제·산업/산업]

    함경남도 단천군 수하면에 있는 철광산. 광산은 마천령계의 운모편암 및 석회암 속에 끼어 있으며, 광석은 자철광으로 철의 함유량은 50% 이상의 부광(富鑛)이다. 매장량은 약 1000여만t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