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단군 / 檀君 [종교·철학]

    고조선의 첫 임금, 또는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 일반 명사. 우리민족의 시조로 받들어진다. 단군 이해는 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실증사학을 중시하는 역사학계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첫임금으로 이해, 민족사관의 입장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

  • 단군고기 / 檀君古記 [역사/고대사]

    단군신화와 고조선의 개국사실을 기록한 역사서. 이 『고기』는 『제왕운기(帝王韻紀)』·『응제시주(應製詩註)』·『세종실록』 지리지에도 거의 비슷하게 인용되었다. 다만, 『제왕운기』에는 단군신화가 『본기(本紀)』의 인용인 것으로 되어 있는데, 환웅천왕이 손녀로 하여금 약을

  • 단군교부흥경략 / 檀君敎復興經略 [종교·철학/유학]

    일제강점기 단군교를 포교할 목적으로 그 대강·전말 등을 기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교리서. 불분권 1책 82장. 신연활자본. 1937년 김재웅(金在雄)의 교열을 거쳐 정진홍(鄭鎭洪)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병한(閔丙漢)·정두화(鄭斗和)의 서문과 정훈모(鄭薰

  • 단군교포명서 / 檀君敎佈明書 [종교·철학/대종교]

    1909년 대종교의 중광(重光)에 사용된 대종교서. 교리서. 초대 도사교(都司敎: 敎主) 나철(羅喆)이 민족을 위하여 일본정부 요로와 담판하고자 일본 동경(東京)에 가 있을 때인 1908년 12월 5일 아침, 한 노인이 숙소로 찾아왔다. 그리고는 「단군교포명서」 1부

  • 단군대 / 檀君臺 [역사/고대사]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의 구월산에 있는 단군 관련유적. 패엽사(貝葉寺) 앞 높은 봉우리 위에 있다. 이 대상에 똑 바로 선 바위 정면에 ‘檀君臺(단군대)’라 쓴 세 자가 크게 새겨져 있다. 바위가 크고 이끼가 덮여서 글자의 획이 희미한 것이 연대의 오래됨을 말해주

  • 단군세기 / 檀君世記 [역사/고대사]

    1363년 이암이 단군조선에 관해 저술한 역사서. 연대기. 계연수(桂延壽)의 ≪환단고기 桓檀古記≫에 수록되어 있다. 일찍이 이암은 고려시대 ≪진역유기 震域遺記≫를 저술한 이명(李茗)과 ≪북부여기 北夫餘記≫의 저자 범장(范樟) 등과 더불어 경기도 양주 천보산(天寶山)에

  • 단군신앙 / 檀君信仰 [종교·철학]

    우리나라 고유 신앙 가운데 하나. 환인, 환웅, 단군 등을 숭배하는 신앙이다. 천신과 산천신을 숭배하는 민족신앙의 대표적인 예이다. 단군신앙이 의존하는 경전으로는 <천부경> <삼일신고><참전경> 등이 있다. 근세에 와서 단군신앙은 여러 가지 이름의 교단이 창립되어 분파

  • 단궁잠오 / 檀弓箴誤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예기』 단궁편의 상례 내용에서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대하여 논변한 예서. 6권 2책. 필사본. 1802년(순조 2)에 편정(編正)하였다.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상례외편(喪禮外編)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공의중

  • 단기고사 / 檀奇古事 [역사/고대사]

    719년 발해의 시조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이 탈고한 것으로 전해지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에 대한 역사서. 연대기. 원문은 발해문이었다고 하며 약 300년 뒤 황조복(皇祚福)이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현재의 국한문본은 1959년정해박(鄭海珀)이 한문본을 다시 번역한 것이라

  • 단도목 / 單都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일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관리들의 고과를 평정하던 제도. 이 평가를 기초로 인사이동을 단행하였다. 문무관원들의 경우 1399년(정종 1)부터 1422년(세종 4)까지만 행하여졌다. 도목은 고과·포폄·출척(黜陟)·승진·좌천·이동 등의 정기인사를 행하는 단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