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만횡청류 / 蔓橫淸類 [문학/고전시가]
『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의 말미에 실려 있는 116수의 노랫말들을 포괄하는 명칭. 만횡청류 116수의 내용은 보기에 따라 다양한 범주로 분류되어 왔다. ‘남녀 문제를 다룬 것들, 중국문화에 적셔져 있는 것들, 인생허무를 노래하고 있는 것들, 인사문제에 모티프가 있
말 [언어/언어/문자]
사람의 생각을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 사람의 한뉘(한평생)에서 목숨을 지키는 데 필요한 공기와 음식을 빼놓고, 말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리고 말만큼 삶과 밀착된 것도 없다. 사람은 낮에 깨어 있을 때 말을 할 뿐 아니라 밤에 잠을 자면서도 꿈을
말라리아 / malaria [과학/의약학]
심한 오한 전율과 간헐성발열(間歇性發熱)이 일어나는 급성 혹은 만성의 원충질환. 아노펠레스모기(anopheles mosquito)의 흡혈로 원충이 인체 내에 침입하여 일으키는 병으로, 제2종법정전염병의 하나이다. 사람에 기생하는 말라리아원충에는 3일열말라리아, 4일열말
말음법칙 / 末音法則 [언어/언어/문자]
음절말(音節末)에 오는 자음에 대한 제약규칙. VC형과 CVC형의 마지막 자음에 관한 제한규칙을 말한다(C=자음, V=모음). 음소의 음성적 실현은 그 환경에 따라 다를 수가 있다. 즉, 같은 음소가 두음으로 실현될 때와 말음으로 실현될 때, 그 변별성을 한결같이 유지
말음첨기법 / 末音添記法 [언어/언어/문자]
향찰·구결·이두에서 우리말 단어의 끝 음절이나 끝 자음을 부기하는 한자 차자표기법. 말음첨기는 첨기된 대상에 따라 ‘음절말 자음 첨기’와 ‘어말 음절 첨기’로 구별된다. 즉, ‘夜音, 雲音, 唯, 入, 只火乙’에 나타난 첨기자는 음절말 자음 첨기가 반영된 것이
말자성공설화 [문학/구비문학]
여러 형제 가운데 막내가 시련을 겪고 나서 성공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우리 나라의 형제설화에서 선악이 대립될 때 일반적으로 형은 악인이며 동생은 선인으로 나타난다. 「흥부전」에 등장하는 놀부와 흥부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도깨비방망이설화」에서도 동생은 산에서 개암
망건장 / 網巾匠 [예술·체육/공예]
말총을 가지고 망건을 만드는 일 또는 그 일을 하는 장인. 국가무형문화재 제66호.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을 여며서 매는 남성용 머리띠가 망건이며, 갓이나 탕건은 반드시 망건 위에 덧쓰는 것으로서 과거의 남자는 항상 망건을 쓰고 있었다. 상인(喪人)은 포망(布網)을 쓰며
망어업 / 網漁業 [경제·산업/산업]
어망을 사용하여 어류나 기타 수산물을 획득하는 어업. 망어업은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이를 분류할 수 있으나 망어구의 종류에 따라 이를 분류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망어구는 다양하나 이는 보통 여덟 종류로 분류되고 있다. 자망류(刺網類)·엄망류(掩網類)·초망류(抄網類
망주 / 網主 [사회/촌락]
어로에 필요한 자본을 부담하는 자본가. 전통 어로방법인 어량(漁梁)이나 어전(漁箭)을 대신하여 기계그물이 들어오면서 어로작업에 큰 자본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어업자본가로서 등장하였다. 우리 나라에 기계그물을 사용하는 근대어업이 들어온 것은 1883년 6월 「조일통상장정
망주석 / 望柱石 [사회/가족]
무덤을 꾸미기 위하여 무덤 앞의 양옆에 하나씩 세우는 돌기둥.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망주석은 현재까지 신라시대의 왕릉 가운데에서도 삼국통일시기 이후의 것으로 보이는 괘릉(掛陵)과 흥덕왕릉(興德王陵)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고려와 조선시대의 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