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김수문 / 金秀文 [역사/조선시대사]
?∼1568(선조 1). 조선 중기의 무신. 중종 때 무과에 급제, 야인들이 함경도 종성에 침입하여 사람들을 납치해가자, 1535년(중종 30) 영건만호로서 전투에 참가하여 끌려갔던 사람들을 데리고 왔다. 동래부사, 지중추부사, 한성판윤, 평안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
김수온부조묘 / 金守溫不祧廟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김수온을 배향한 사당.시도기념물. 정면 3칸·측면 1칸 반의 목조맞배집 건물. 충청북도 기념물 제48호. 조선 초기의 문신 김수온을 제향하는 사당이다.본래는 1487년(성종 18) 왕명으로 보은읍 종곡리에 세웠는데, 1664
김승경 / 金升卿 [종교·철학/유학]
1430(세종 12)∼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계림군 김균 증손, 할아버지는 김중성, 아버지는 지중추원사 김신민, 어머니는 홍수명의 딸이다. 1456년(세조 2) 사용으로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벼슬이 예조참판·대사헌에 이르렀다. 그는 벼슬길에 오
김시습 / 金時習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1455년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중이 되었다. 1463년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을 도왔고, 우리나라 최초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지었다. 유불교체기에 태어나 유교와
김시습전 / 金時習傳 [문학/한문학]
1582년이이(李珥)가 지은 전(傳). 김시습에 대하여 지은 전이다. 『율곡집(栗谷集)』 권14∼16 잡저에 실려 있는 작자의 유일한 전이다. 김시습의 선세가계(先世家系)에서 시작하여, 어린 시절 학문을 처음 익히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화와 단종의 손양(遜讓)과 세조의
김시창 / 金始昌 [종교·철학/유학]
1472(성종 3)∼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효자. 할아버지는 사직 효신, 아버지는 의, 어머니는 조승중의 딸이다. 일찍이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금산에 거주하면서『가례』에 의한 상례를 철저히 준행하는 한편, 효행이 뛰어나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
김심 / 金諶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내자시유 해, 아버지는 참의 우신, 어머니는 지청풍군사 이계충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김안국 / 金安國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43(중종 38). 조선시대 문신·학자. 참봉 연의 아들, 정국의 형이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동몽선습≫ 이 있고, 편서로는
김안로 / 金安老 [종교·철학/유학]
1481(성종 12)∼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수 우신, 아버지는 참의 흔, 어머니는 윤지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6년(중종 1)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에 처음 임명된 뒤 수찬·정언·부교리
김언건 / 金彦健 [종교·철학/유학]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공저, 아버지는 장사랑 자, 어머니는 흥양이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어 어려운 과정에서 학문을 닦았고, 장년이 되자 노수신·임훈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운정유집』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