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총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죽로문집 / 竹老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신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1년(순조 1) 4대손 방달(邦達) 등이 수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죽로문집』의 권두에는 조술도(趙述道)와 한치응(韓致應)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주원(李周遠)과 이
죽루부 / 竹樓賦 [문학/한문학]
1607년(선조 40)허균(許筠)이 지은 부(賦). 작자의 문집인 『성소부부고』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삼척부사로 나갔을 때 지은 것으로, 늦은 봄 삼척에 있는 죽서루에 올라 그곳의 경관과 이를 보고 느낀 감흥을 읊었다. 서두에 두타산(頭陀山)의 수많은 봉우리가
죽림고회 / 竹林高會 [문학/한문학]
고려 무신정권 때 이인로(李仁老)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문인들의 모임. 이 시회(詩會)는 정중부(鄭仲夫)의 무신집권기에 이인로(李仁老)·임춘(林椿)·오세재(吳世才)·조통(趙通)·황보 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문인이 구성하였다. 중국 위(魏)
죽부인전 / 竹夫人傳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곡(李穀)이 지은 가전체 소설. 한문본. 『동문선』 권101과 『가정집 稼亭集』에 전하고 있다. 「죽부인전」은 대(竹 죽)를 의인화하여 절개 있는 부인에 비유하여 쓴 작품이다. 「죽부인전」의 구성과정이 변(籩, 왕대)의 음률을 통하여 조정의 전악관의 악
죽서박씨 / 竹西朴氏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죽서시집』을 저술한 시인. 박종언(朴宗彦)의 서녀이며, 서기보(徐箕輔)의 소실이다. 대략 1817년(순조 17)∼1851년(철종 2)에 생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로부터 글을 배워 어려서부터 경사(經史)와 고시문(古詩文)을 탐독하였고, 소식(蘇軾)·한
죽서시집 / 竹西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여류시인 죽서 박씨의 시 「십세작」·「기정」·「우음」등을 수록하여 1851년에 간행한 시집.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51년(철종 2) 남편 서기보(徐箕輔)의 재종 돈보(惇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돈보의 서문과, 권말에 동시대의 여류시인이며 작자의
죽서유고 / 竹西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문인 하제훈의 시·죽헌일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연도를 알 수 없다. 죽헌일기(竹軒日記) 1편, 제문 2편, 시 147수, 「죽서시집서(竹栖詩集序)」 1편 등이 수록되
죽존자전 / 竹尊者傳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혜심(彗諶)이 지은 가전체소설. 「죽존자전」의 죽존자는 위수(渭水)나 소상강(瀟湘江)가에 노닐면서 서리나 눈에 단련되어 기골이 청신하였다. 존자의 사진인 사군자의 대나무 그림을 세상에서 보배로 여긴다. 죽존자의 덕이 뛰어남을 다 말할 수 없다. 대략 열 가
죽지사 / 竹枝詞 [문학/한문학]
악부시의 일종. 죽지란 원래 파유(巴歈)지역 일대에 유포된 민가(民歌)의 일종이었다. 이 죽지사는 작자의 순수 서정이 아니라 건평이란 특정 지역의 민가와 민풍을 근거로 지어졌다. 읊조리는 시가 아니라 가창(歌唱)을 전제한 노랫말로 지어졌다. 개별작품의 양식은 7언절구
죽헌문집 / 竹軒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학자 하성의 시·제문·만사·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9대손 진원(振源)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도헌(柳道獻)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9수, 서(書) 2편, 서(序)·발(跋)·상량문·잡저 각 1편, 제문 9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