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다의어 / 多義語 [언어/언어/문자]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 소쉬르(Saussure,F.de)의 용어를 빌리면, 둘 이상의 기의(記意, signifie)가 하나의 기표(記標, signifiant)와 결합된 경우를 다의어라고 한다. 다만, 그 기표가 어원을 달리하는 형식인 동음이의어의 경우는 다의어에

  • 다이빙 / 다이빙 [예술·체육/체육]

    높은 곳에서 물속으로 뛰어드는 과정에서의 동작과 미를 겨루는 수상경기. 일정한 높이에서 물 속으로 뛰어드는 과정에서의 달리기, 발구름, 공중에서의 다이빙 기술과 우아함, 입수 자세를 채점하여 득점으로 순위를 정하는 경기로 남·녀 스프링보드다이빙(Springboard D

  • 다인 / 多仁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달이현(達已縣, 또는 多已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다인현으로 고쳐 상주(尙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 보주(甫州)로 이속하였고,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예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 다인청 / 多人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환관의 처소. 다인은 본래 공역인의 칭호이나, 환관이 이들의 임무를 담당함으로써 다인청이 곧 환관들의 거처를 의미하게 되었다. 따라서, 세종연간에는 다인청이 내시부의 의미로 혼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내시부는 직제상의 명칭이며, 다인청은 환관들의 처소로 구별될

  • 다전경의답문 / 茶田經義答問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곽종석의 편지글에서 경학에 관련된 내용을 편집하여 엮은 유학서. ‘다전’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에 있는 곽종석이 살았던 마을 이름이다. 편자는 곽종석의 제자인 하겸진(河謙鎭)에게서 배운 박우희(朴雨喜)이다. 편자는 『면우집

  • 다정큼나무 / Yeddo-hawthorn [과학/식물]

    장미과 다정큼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남부 난대지역 표고 700m 이하 해변의 산록 양지에 자생한다. 쪽나무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일본, 타이완이다. 학명은 Rhaphiolepis umbellate Mak.이다. 완도 주도 상록수림(천연기념

  • 다짐 / 侤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송사에 패소한 사람이 관의 판결에 승복하겠다고 다짐[侤音] 하던 문서. 수표. 사법관(刑曹·司憲府·漢城府·掌隷院·地方官衙)에게 다짐[侤音] 하였다. 따라서 승소자가 보관하게 된다. 관에서는 다짐을 받고, 관의 표시[揮筆]를 한 다음, 그 밑에 관원의 수결(手

  • 다천문집 / 茶泉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사공억(1805∼1841)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34년 손자 봉(琫)이 편집하였고, 환(桓)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홍락(金鴻洛)의 서문과 권말에 족손 식(湜)·봉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 다천실기 / 茶川實記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최동률의 유고와 행장초·축문 등을 수록하여 1926년에 간행한 실기. 1926년 최동률의 10세손 재교(在敎)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소락(金紹洛)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동술(崔東述)과 최재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부(賦) 2편, 시 4수

  • 다카마쓰총 / 高松古墳 [역사/선사시대사]

    일본 나라현[奈良縣] 다카이치군[高市郡] 아스카촌[明日香村] 히라타[平田]에 있는 고분. 1972년 3월에 발굴 조사되었다. 이 고분의 발굴은 1971년 7월의 공주 무령왕릉의 발견과 1972년의 중국 후난성[湖南省] 창사시[長沙市] 우리패[五里牌]에서 발견된 마왕퇴고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