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다사도 / 多獅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염주군 다사노동자구에 있던 섬. 간석지에 둘러싸인 작은 섬으로서 대다사도와 소다사도로 나누어져 있고, 압록강의 남쪽 하구 가까이에 위치한다. 대다사도는 면적 약 0.2㎢, 해안선 길이 약 2.5㎞이고, 소다사도는 면적 약 0.05㎢, 해안선 길이는 약 700m
다사지 / 多斯只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 하빈현(河濱縣)으로 고쳐 수창군(壽昌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로 이속하였다가 다시 환원시켰고, 1472년(성종 3)하빈현으로 되었다. ‘다사’는 본래 ‘물〔河, 水〕’을 뜻하는
다산집 / 茶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목대흠의 시 「임자월과」·「병진조천록」·「신유서정」등을 수록하여 1685년에 간행한 시집. 2권 2책. 목판본. 1685년(숙종 11) 그의 조카 존선(存善)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
다송시고 / 茶松詩稿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금명 보정의 시 「순치황제출가시」·「영평시」 등을 수록한 시집. 불교시집. 구한말 조계종의 승려였던 금명보정이 자신이 쓴 시 1,000여 편을 모은 책이다. 총 3편으로 구성되는데, 제1편에는 430편 582수의 시가 수록되어
다시 찾은 옥새 [문학/구비문학]
두꺼비라는 사람이 친구의 도움으로 거짓 점을 친 것이 계기가 되어 행운을 잡는다는 내용의 설화. 문헌상으로는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지동장은수기계(知童藏銀授奇計)」라는 제목으로 전하며, 구전설화로는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전한다. 설화의 공간이 마을·
다시마 [과학/식물]
다시마과에 속하는 해조. 한자어로는 해대(海帶)·곤포(昆布)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참다시마와 애기다시마가 있다. 몸은 넓은 띠 모양이다. 바탕은 두껍고 표면이 미끄러우며 가장자리에 물결무늬가 있다. 아래에 자루모양의 짧은 줄기가 있고 가지가 많이 난 부착기로 바위에
다식 / 茶食 [생활/식생활]
쌀·밤·콩 등의 곡물을 가루 내어 꿀 또는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서 글자·기하문양·꽃문양 등이 양각으로 나타나게 만든 음식. 의례상(儀禮床)에 놓는 필수 과정류(菓飣類)의 하나이다. 다식이 언제부터 있어 왔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목은집 牧隱集≫에 팔관회(八關
다신전 / 茶神傳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의순이 청나라의 모환문(毛煥文)의 『만보전서』에 실린 「다경채요」를 1830년에 필사한 초록집. 다도서. 조선 후기의 승려이자 다인(茶人)이었던 초의 의순이 청나라 모환문(毛煥文)이 엮은 『만보전서(萬寶全書)』에 실린 「다경채요(茶經採要)」에서 초록한
다암유고 / 茶嵓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위영복의 시·서(書)·잡저·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1책. 필사본. 유고로 전해오다가 증손 용철(容喆)에 의하여 영인, 간행되었다. 권말에 증손 계양(啓洋) 등이 쓴 4편의 발문이 있다. 충북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21수, 권2에 서(
다운동고분군 / 茶雲洞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및 삼한·삼국시대의 고분군.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1995년 조사에서 10여 기가 조사되었다. 주거지는 구릉 경사면에 축조된 구덩주거지로서 집자리 평면형태는 장방형계와 방형계가 대부분이며 중복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