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다리밟기 [생활/민속]
정월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는 풍속. 우리 나라에서 특히 다리밟기를 하면 다리병을 앓지 않는다는 관념이 강한 것은 다리[脚]와 다리[橋]의 발음이 같은 데서 생긴 속신적 관습이며, 언어질병적(言語疾病的)인 심리가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홍석모(洪錫謨)의 ≪
다리세기 [생활/민속]
두 줄로 마주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가는 아이들놀이. 놀이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노래에 따라 다리를 손바닥으로 차례로 짚어가다 노래의 마지막 마디인 ‘땡’(또는 ‘뽕’이나 ‘콩’)을 하려는 순간 여기에
다문화가족 / 多文化家族 [사회/가족]
서로 다른 국적, 인종이나 문화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 한국의 다문화가족은 우리와 다른 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족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는 2003년 3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건강가정시민연대가 기존의 혼혈아
다물도 / 多物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다물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25명(남 169명, 여 156명)이고, 세대수는 142세대이다. 취락은 동·서 양해안의 만이 만나는 지협부(地峽部)에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16㎢, 임야 1.36㎢이다.
다방 / 茶房 [사회/사회구조]
여러 가지 차 또는 음료수를 파는 장소. 원래 차를 마시며 음악도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의 구실을 하였다. 근대적인 기능과 형태를 갖춘 다방이 등장한 것은 3·1운동 직후부터이지만, 개항 직후 외국인에 의하여 인천에 세워진 대불호텔과 슈트워드호텔의 부속다방이 우리 나라
다방 / 茶房 [생활/식생활]
고려·조선시대에 차와 술·소채·과일·약 등의 일을 주관한 관서. 주된 임무는 조정의 다례를 거행하는 것이었지만, 꽃·과일·술·약·채소 등의 관리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조의 내시부에 소속되었는데, 차의 공급과 외국사신의 접대를 맡았다. 고려의 진다의식은 조선시대는 다
다비 / 茶毘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전통적인 화장 장례의식. 이 의식의 절차는 먼저 오방불(五方佛)에 귀의하여 오방불의 자비심으로 죽은 이의 영혼을 잘 인도하여 줄 것을 발원한다. 이어서 죽은 이가 승려였을 경우, 삭발시키는 삭발의식을 행하고, 몸을 깨끗이 한다는 뜻에서 목욕·세수·세족 의식을 차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청평산 문수사에서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54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편찬자는 미상이다. 1542년(중종 37) 강원도 청평산 문수사(文殊寺)에서 개판(開板)하였다. 내용은 앞부분에 천수경(千手經)·사자단작법(使者壇作法)·제불통청(諸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해인사에서 정행이 다비에 대한 의식문과 절차를 정리하여 1882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1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해인사에서 간행되었다. 권말에 봉기(鳳機)의 발문이 있고 부록으로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와 「승속오복도(僧俗五服圖)」가 있다.
다비설 / 茶毘說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긍선이 다비의식을 선의 입장에서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조선 말기의 조계종 승려였던 백파 긍선의 저술서로, 「삭발편(削髮篇)」을 시작으로 「소석회송(燒席灰頌)」까지 2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비의식을 다룬 것이지만 의례집은 아니며, 다비의식을 선(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