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황일호 / 黃一皓 [종교·철학/유학]

    1588(선조 21)∼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황원 증손, 할아버지는 황대수, 아버지는 황척, 어머니는 강백룡의 딸이다. 큰아버지 황신에게 입양되었다. 조수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음보로 운봉현감·전주판관·임천군수 등을 역임하고, 1635년(인조 1

  • 황자총통 / 黃字銃筒 [과학/과학기술]

    1812년(순조 12)에 만들어진 화포(火砲). 보물 제886호. 정철(定鐵, 화포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모병(冒柄, 자루를 끼울 수 있는 부분)·손잡이가 완벽하게 붙어 있어서 당시의 제조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다.

  • 황재 / 黃梓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황신구 증손, 할아버지는 황흠, 아버지는 황서하, 어머니는 박태연의 딸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강원도관찰사, 부제학, 이조참의,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저서로는 두 차례에 걸쳐 청나라에 다

  • 황재영 / 黃在英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1883년(고종 20). 이인하의 아들이다. 1883년(고종 20)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퇴하였다. 영남의 학자 가운데 실천적 학자로는 황재영만한 이가 드물었다고 한다. 저서로는《대계유고》 7권이 있다.

  •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조선책략》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

  • 황주목사계자기 / 黃州牧使戒子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1848년에 간행된 목판본 『삼설기(三說記)』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활자본 조선서관판 『별삼설기(別三說記)』에는 ‘황주목사기’라는 표제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은 예언설화를 소설화한 것으로, 상대방이 아무리 기생이라 하여도 애

  • 황최 / 黃最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50. 황우성의 아들이다. 1725년(영조 1)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는 실패하였다. 만년에 후진 양성에 전심하였는데 그 문하에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많았다. 저서로는 《독성재집》이 있다.

  • 황최언 / 黃最彦 [종교·철학/유학]

    1711년(숙종 37)∼미상. 조선 후기 문신. 황근중 5대손, 증조는 황석, 조부는 황응두이다. 부친 황수태와 모친 이만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우정구이다.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등용이 늦었다. 1769년(영조 45) 필

  • 황태자은임명문서 / 皇太子垠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8월 16일. 황태자 은(垠)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명하는 문서. 순종황제의 어압과 <대원수보>가 찍혀있다. 1899년(고종 36)에는 군제개편과 함께 <대원수보>와 <원수지보>를 제작하였다. 이 문서는 1907년 8월 육군보병참위에 임명되는 내용

  •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 일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