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다뉴세문경 / 多鈕細文鏡 [역사/선사시대사]
초기 철기시대의 거울. 지름 14.1㎝.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일본인 오쿠라[小倉武之助]의 수집품으로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출토로 전한다. 뒷면에 세밀한 기하학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반구형(半球形) 꼭지가 2개 달려 있다. 연부는 반원형이며, 뒷
다다이즘 / dadaism [문학/현대문학]
1916년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던 문예운동. 한국 문단에 다다이즘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1920년대 초반 이후이다. 한국 문단에서는 다다이즘을 대체로 세기말적 허무주의로 이해하였고 거기에는 절망·비분·반항·저주와 자조의식 등이 자리잡고 있다고 보았다. 다
다대포 / 多大浦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의 서남단에 있는 소만입. 낙동강하구 최남단에 있는 다대반도와 두송반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5개의 작은 소만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 시내에서 17㎞ 지점에 위치해 있다. 1960년대 말까지 부산 근교의 한적한 어항이었으나, 목재 및 조선업이 유치되면서부터
다대포패총 / 多大浦貝塚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신석기시대와 원삼국시대 내지 가야시대의 조개더미. 낙동강구에 가까운 몰운대(沒雲臺)의 북쪽 끝부분에 있는 비교적 소규모의 유적지이다. 유적지의 현상은 바다에 면한 동서 양편이 오랜 기간동안 파도에 의해 상당부분이 붕괴된 상태이다. 특히,
다도해 / 多島海 [지리/자연지리]
섬이 많은 바다. 그리스의 에게해는 다도해의 예이며, 우리 나라에서 섬이 가장 많은 곳은 전라남도 진도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 해안이나 대체로 남해와 서해남부의 도서 지방을 포함하는 곳으로 이곳을 다도해라 일컫는다. 이 다도해에는 약 2,3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多島海海上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의 홍도에서 여수시 돌산읍에 이르는 지역의 해상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국토 서남단인 완도, 고흥, 여수, 진도, 신안 지역의 도서 및 해상, 해안 일부에 총 8개 구역으로 분산 지정되어 있다. 2011년 1월 10일 팔영산지구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다듬이질 [생활/의생활]
세탁된 옷감을 방망이로 두들겨 다듬는 일. 우리 나라의 옷은 평면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세탁 때마다 바느질한 모든 솔기를 뜯어 빨고 새로 옷을 만들어 입는다. 그러므로 풀먹여 새 옷감과 같이 올이 바르고 윤기 있게 손질하는 다듬이질이 발달하게 되었다.
다랑쉬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에 소재하는 분석구.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다랑시악(多郞時岳), 『대동지지』에는 대랑수악(大郞秀岳), 『제주군읍지』에는 다랑수악(多浪秀岳)으로 등장하며, 일제강점기부터 월랑봉(月郞峰)으로 표기하였다. 다랑쉬오름에는 과거 탐방객의 답압
다래나무 / Actinidia arguta PLANCH. [과학/식물]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덩굴성 낙엽만목. 학명은 Actinidia arguta PLANCH.이다. 우리나라·중국·일본에 자생하며 깊은 산의 숲속, 토양이 깊고 부식질이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의 길이는 7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난
다리미 [생활/의생활]
옷이나 피륙의 구겨진 주름살을 펴는 데 사용되는 기구.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고무(鈷鉧)는 속명으로 다리우리라고 하며, 불붙은 숯을 넣고 옷감을 펴는 것”이라 하여, 고무라고도 하고 우리말로는 다리우리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형태는 쇠붙이로 연엽(蓮葉)대접 비슷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