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능원천봉도감의궤 / 陵園遷奉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능과 원의 천장에 관한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이 의궤는 크게 『천봉도감의궤(遷奉都監儀軌)』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로 구분되는데 모두 22종이 있다. 천장한 연대순으로 본 능·원의 명칭과 능·원별 의궤의 수는 선조목릉(宣祖穆陵) 2종, 원종

  • 능주 / 綾州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옛 지명. 1018년(현종 9) 나주(羅州)에 속하였으며, 1143년(인종 21) 현령(縣令)을 두었다. 1416년(태종 16) 화순이 병합되어 순성(順城)으로 개칭되었다가 2년 후에 분리되었다. 1594년(선조 27) 화순이 또 병합되었다가 16

  • 능주삼충각 / 綾州三忠閣 [사회/가족]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조선후기 최경희·문홍헌·조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한 최경회(崔慶會)와 문홍헌(文弘獻), 그리고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 때 해남에서

  • 능주지 / 綾州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능주목(현 화순군 능주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45장).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관직·산천·영애(嶺隘)·강계(疆界)·성씨(姓氏)·풍속·단묘(壇廟)·공해(公廨)·

  • 능주향교 / 綾州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는 향교. 392년(태조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능주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가 1600년에 현령 하응도(河應圖)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611년 현령

  • 능천문집 / 綾泉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여대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처음 최흥벽(崔興璧)에 의하여 편집되었고, 그 뒤 박종서(朴宗恕)에 의해 증보, 개편되었으며, 100여년 뒤인 1893년 5대손 태섭(太燮)과 천섭(天燮) 등이 간행하였다.

  • 능침 / 陵寢 [예술·체육/건축]

    조선 태종(太宗)의 능침인 헌릉(獻陵). 헌릉은 광주부(廣州府)에서 서남쪽으로 20리 떨어진 대모산(大母山) 남쪽에 있는데 지금의 대왕면(大王面)이다. 헌릉은 조선 태종(太宗)의 능침으로 왕비인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가 합장되어 있다.

  • 능침전 / 陵寢田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여러 왕릉·왕비릉의 수호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각 능침별로 지급된 토지. 수조권자인 능침은 경작 농민으로부터 1결(結)당 30두(斗)의 조(租)를 거두어 들이되, 전주(田主)가 수전(水田)은 1결당 백미 2두, 한전(旱田)은 황두(黃豆) 2두씩 국가에 납입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