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능성구씨세보 / 綾城具氏世譜 [사회/가족]

    조선시대 문신 구사맹·구봉령 등이 중심이 되어 1576년에 간행한 능성구씨의 족보. 편찬 실무는 구인(具仁)·구사심(具思諶)이 담당하였으며, 청주의 보살사(菩薩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원본의 현존 여부는 미상이나 1576년에 작성된 변순(邊循)의 후지(後識)와 범

  • 능소화 / 凌霄花 [과학/식물]

    능소화과 능소화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 능소화는 중국이 원산인 덩굴나무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 10m까지도 자란다. 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심어 기르고 있다. 학명은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 능암덕산굴 / 能巖德山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에 있는 석회동굴. 능암덕산(480m)의 산정 동쪽 능선에 있으며, 수직깊이 181m, 주굴(主窟)의 길이 380m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은 수직동굴이다. 1978년 9월 건국대학교 동굴탐사대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영월읍 문산리

  • 능엄경 / 楞嚴經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 경전 중의 하나. 마음이란 그 어느 곳에도 없음을 밝히고 깨달음의 본성과 과정, 여래장이 무엇인가에 관하여 설하고 있다. 10권으로 되어 있다.

  • 능엄경사기 / 楞嚴經私記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의첨이 『능엄경』을 해석하여 1797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1권 1책. 목판본. 1797년(정조 21) 팔공산 동화사(桐華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희문(喜聞)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능엄경』에서 설명한

  • 능엄경신과 / 楞嚴經新科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보환이 『능엄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2권 2책. 목판본. 대선사 경지(鏡智)가 간행하였다. 권말에 김지정(金之楨)의 발문이 있다. 보환의 또 다른 저서인 『능엄경산보기(楞嚴經刪補記)』에 대한 김지정의 간기(刊記)에 의하면, 보환은 『능엄경』에

  • 능엄경언해 / 楞嚴經諺解 [언론·출판/출판]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서. 10권 10책. 중국 송나라 온릉계환(溫陵戒環)이 핵심이 되는 부분을 풀이한 책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을 달고 번역하였다. 활자본·목판본의 두 종이 있는데 활자본은 1461년(세조 7)에, 목판본은 1462년에 간행되었

  • 능엄경음독구결 / 楞嚴經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능엄경』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책. 여말선초의 구결로 추정되는 능엄경 자료는 학계에 보고된 것만 10종이 넘는다. 이 중에서 ‘박동섭 소장본’, ‘남권희 소장본’, ‘기림사 소장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구 송성문본, 보물 제75

  • 능엄찬 / 楞嚴讚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찬불가요. 내용은, 제1연에서는 본성을 잃고 헤매는 세계중생을 구원한 석가여래의 공덕을 찬양하고, 제2연에서는 여래의 힘으로 마풍(魔風)이 불지 못하도록 해달라는 축원을 담고 있다. 제2연의 ‘―샷다’와 ‘―쇼셔’는 각각 찬양과 축원을 나타내는 종결어

  • 능원묘위전 / 陵園墓位田 [정치·법제/법제·행정]

    능·원·묘의 관리를 위해 절급된 토지. 능은 왕과 왕비의 분묘, 원은 왕세자·왕세자비·왕세손·왕세손비 및 왕의 생모인 빈(嬪)의 분묘, 묘는 제빈 및 제왕자·공주·옹주의 분묘를 이른다. 조선시대에는 능역을 정하고, 그 외곽에 산림금양지(山林禁養地)와 방화지로서 화소를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