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행정 지명과 마을 총 6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행정 지명과 마을
제물포 / 濟物浦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해안에 있었던 조선 시대의 포구(浦口). 이 지역은 본래 고구려의 미추홀현(彌趨忽縣, 또는 彌鄒忽縣)이었는데, 백제가 점령한 뒤 매소홀현(買召忽縣)이 되었다. 372년(근초고왕 27)부터 475년(문주왕 1)까지 100여 년간 중국의 동진ㆍ송ㆍ북위와 내
제주 용천동굴 / 濟州龍泉洞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위치한 용암동굴. 2005년 5월 11일에 발견되어 2006년 6월 7일에 천연기념물 제466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477,519㎡, 길이는 약 3.6㎞이다. 용천동굴은 이곳에서 발견된 깊이 12m 이상 되는 호수가 마치 용이 솟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지리/인문지리]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도를 포함하여 80개의 크고 작은 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전체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북단은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녹서로 북위 34°00′, 남단은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마라도로 북위 33°06′, 서
종로 / 鍾路 [지리/인문지리]
서울의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로. 6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는 대표적인 도로의 하나이다. 조선 시대에 밤 10시에 종을 쳐 통행 금지를 알리는 인정(人定)과 새벽 4시에 다시 종을 쳐 통행 금지를 해제하는 파루(罷漏)로 도성의 8대문을 여닫게 하
종성군 / 鍾城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북단에 있는 군. 동쪽은 경원군, 서쪽은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동북 지방, 남쪽은 회령군·경흥군·나진시, 북쪽은 온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9°44′∼130°15′, 북위 42°17′∼42°53′에 위치하며, 면적 1,122.69㎢, 인구 3만7953명(
주남저수지 / 注南貯水池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과 대산면에 걸쳐있는 저수지. 면적 약 898만㎡. 관개용 대저수지로서 전국에서도 이름난 배후습지성 호수이다. 경상남도의 곡창을 이루는 동읍평야와 대산평야(大山平野)의 광활한 농토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이 저수지는 구룡산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
주을온천 / 朱乙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 육향동에 있는 온천. 온천은 함경선의 주을역에서 북서쪽으로 주을온천을 따라 13㎞ 가량 거리에 있다. 북쪽에 연두봉(蓮頭峰, 952m), 남쪽에 청계봉(淸溪峰, 551m)이 솟아 있고, 이 사이의 비교적 평탄한 하안평야에 주을온보(朱乙溫堡)라는
줄포 / 茁浦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에 있는 포구. 변산반도 남부의 곰소만(옛날의 줄포만) 동안에 위치한다. 곰소만은 남북 양안이 모두 급한 산록으로 이루어져 비교적 수심이 깊기 때문에 많은 어항이 발달하였다. 그 중에서도 줄포는 곰소만의 어업중심지였으며, 특히 조기의 3대어장 중
중강진 / 中江鎭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지역에 있었던 진(鎭). 군의 최북단의 압록강연안에 있다. 압록강 건너 만주지방에 있는 마오루산(帽兒山)과 대하고 있는 국경지역으로 국방상 중요지점이었으며, 중국으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하여 교통요지로서의 구실도 겸하였다. 또한, 부근 삼림지대에 분
중구(대구광역시) / 中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 행정·정보·금융·유통의 중심지로 대구 심장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동서남북이 신천, 달성 기슭, 명덕로 그리고 경부선을 경계로 각각 대구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그리고 북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4'~128˚38', 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