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누항사 / 陋巷詞 [문학/고전시가]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박인로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

  • 눈공 / 눈공 [경제·산업/산업]

    눈의 역할이 중요하거나 눈에 피로가 많이 쌓이는 일.

  • 눈과 비단띠를 맞바꾼 가재와 지렁이 [문학/구비문학]

    지렁이는 왜 눈이 없으며 땅속에서 사는가에 대한 이유를 다룬 설화. 옛날에는 지렁이도 눈을 가졌고, 가재는 눈이 없는 대신 훌륭한 비단띠를 가졌다. 서로 상대방의 것이 좋아 보여 맞바꾸기로 하였다. 눈을 잃은 지렁이는 곧 눈의 소용을 깨달아 가재에게 되돌려주기를 요구하

  • 눈먼 아우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형에 의하여 쫓겨난 아우가 호랑이의 말을 엿들어 성공하고, 그 형은 아우를 본뜨다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옛날에 악한 형과 착한 아우가 살았는데, 하루는 형이 아우의 눈을 멀게 하고는 내쫓았다. 아우는 나무 위에서 자다가 우연히 호랑이들끼리 하는 말을 엿듣고, 그 말대

  • 눈사람만들기 [생활/민속]

    눈으로 사람모양을 꾸미며 즐기는 어린이들 놀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려 쌓였을 때, 어린이들이 작은 눈뭉치를 굴려서 크게 만들어 이를 몸통으로 삼고, 따로 만든 작은 눈덩이를 이 위에 올려놓아 사람 모양으로 꾸미는 놀이이다. 눈·코·입은 숯덩어리를 박아서 나타내며,

  • 눈싸움 [생활/민속]

    주먹만한 크기의 눈덩이를 만들어 상대편을 향하여 던지며 즐기는 아이들의 놀이. 초등학교와 같이 어린이들이 많은 곳에서는 수십명이 집단으로 이 놀이를 벌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마을의 아이들 서너명이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눈싸움을 한다. 그러므로 이 놀이만을 정식으로 벌이는

  • 눌계유고 / 訥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우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927년 9대손 희태(希泰)·희선(希善)과 10대손 재섭(在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우희태·우희선·우재섭 등의 발문이 있다. 연

  • 눌도 / 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는 섬.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248명(남 137명, 여 111명)이며, 세대수는 114세대이다. 취락은 남쪽의 선착장 부근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0㎢, 밭 0.85㎢, 임야 0.67㎢이다. 주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다

  • 눌암문집 / 訥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지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08년 박천건의 증손 일형(一衡)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곽종석(郭鍾錫)의 서문과 권말에 증손 박주형(朴周衡)의 후서와 박일형의 발문이 있다. 8권 4책. 목활자본. 권1∼4에 시 11

  • 눌암문집 / 訥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한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04년 8대손 종유(鍾裕)가 편집하고, 후손 종구(鍾九)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룡(張錫龍)·장승택(張升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종자(從子) 윤겸(允謙)과 이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