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농재집 / 聾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오빈의 시·서(書)·제문·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오구상(吳龜常)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장서각에 있다. 권1은 시·서(書)·전(箋), 권2는 부록으로 시장(諡狀)·묘갈명·묘지명·치제문

  • 농정서 / 農政書 [경제·산업/산업]

    저자·연대 미상의 종합 농업기술서. 5책. 필사본. 농정·수리·작물·원예·축산·양잠·양어·양봉 등에 관한 내용을 주로 기술한 책이다. 1책 후반부에서 2책 전반부까지의 약 100면이 자구(도해 포함) 하나 다름이 없이 ≪수차도설 水車圖說≫·≪양수기제조법 揚水機製造法≫·

  • 농정신편 / 農政新編 [역사/근대사]

    1885년 안종수가 서양의 근대 농법을 토대로 저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4권 4책.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서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업 기술서로 과거의 농서와는 판이한 체계와 내용을 수록하였다. 특히 근대 과학을 토대로 한 식물학 또는 농화학적 지식을

  • 농정촬요 / 農政撮要 [경제·산업/산업]

    개항기 문신 정병하가 토양·비료·주곡작물·목화·담배 등의 재배법을 종합하여 1886년에 저술한 농업서. 3권 1책. 토양·비료·주곡작물과 목화·담배의 재배법을 종합 서술하였다. 자서(自序)와 목록·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문과 목록은 순한문, 본문은 국한문 혼용이

  • 농정회요 / 農政會要 [경제·산업/산업]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농촌 생활 전반에 걸친 내용을 수록하여 1830년경에 저술한 농업서. 분량면에서 『임원경제지』 다음가는 방대한 농서이다. 본래 10책의 필사본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일본 경도대학 가와이문고본(河合文庫本)은 제1책이 빠져

  • 농종법 / 壟種法 [경제·산업/산업]

    이랑(두둑)을 만들고 그 위에 골뿌림[條播]하거나 점뿌림[點播]하는 파종법. 파종법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고대에는 만종법으로 경작되어 오다가 말과 소를 부리며, 밭갈이하는 쟁기가 발달되면서 농종법과 견종법이 동시에 분화되었다. 1429년(세종 11)에 편찬된 『농사직

  • 농주 / 弄珠 [예술·체육/체육]

    나무로 둥글게 만든 여러 개의 공을 공중에 던졌다가 받았다 하면서 원을 그리며 돌게 하는 공놀이. 중국의 역사책인 『수서 隋書』 백제전과 『북사 北史』 백제에는 농주놀이가 있다고 하였고, 『삼국유사 三國遺事』 태종춘추공전에도 신라에 농주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이 놀

  • 농지개량 / 農地改良 [경제·산업/산업]

    작물의 생육에 알맞도록 농경지를 좋게 하는 것. 농업용수개발은 천수답 또는 수리불안전답에 대하여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한 저수지·양수장·보 등의 수원공(水源工)과 용배수조직망(用排水組織網)의 설치를 말한다. 배수개선사업은 습답 또는 침수답의 배수를 촉구하여 수도작의 생산

  • 농촌 / 農村 [사회/촌락]

    도시와 구별되는 사회지리적 공간으로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는 곳. 인류의 문명은 사람들이 일정한 장소에 거주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비롯되었다. 경작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은 원시적 농촌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런 의미에서 농촌의 역사는 문명적 존재

  • 농촌계몽운동 / 農村啓蒙運動 [역사/근대사]

    농민의 의식과 지식, 기술 등을 계몽하거나 개발하기 위하여 학생들 또는 학식 있는 지도층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단체를 형성하여 농촌사회에 봉사하는 사회교육적 활동. 농촌계몽운동은 주체가 농민이 아니었기 때문에 농민운동이 아니라 농촌운동이었다. 그리고 교육활동이면서 학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