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농와집 / 聾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안경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1905년 현손 정로(鼎魯)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진호(金鎭祜)의 서문과 권말에 조정규(趙貞奎)·안유상(安有商)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
농운유고 / 農雲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진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4책. 연활자본. 아들 용구(龍九)의 편집을 거쳐, 1937년 현손 병도(丙燾)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규찬(金奎燦)·조익원(趙翼元)·이상천(李相天)의 서문과
농은유고 / 農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8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818년(순조 18) 족현손인 형규(馨圭)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로 소상팔경(瀟湘八景) 등 146수,
농은집 / 聾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상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0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0년 이상즙의 5세손 현화(鉉華), 6세손 달호(達浩)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손사익(孫思翼)·정범조(丁範祖) 등의 서문, 권말에 송이석(宋履錫)·이재즙(李在楫)·이현화·이달호 등의
농은집 / 農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석인본. 1960년 족후손(族後孫) 도형(道衡)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기완(李起完)과 도형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중
농은집 / 農隱集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학자 최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12년경 후손 영숙(暎淑)·현숙(玹淑)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현숙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시 35수, 권2는 서(書) 4편, 기 4편
농장 / 農莊 [경제·산업/경제]
고려 후기 새로이 등장한 대토지 지배의 특수한 형태. 농장은 중세의 토지지배양식을 대표하는 봉건적 장원(莊園)과 연관되어 역사적 의미가 매우 중요시되어왔다.고려 후기의 경우, 농장의 지배자는 대개가 중앙의 권력자였고, 그들이 직접 지배하는 것보다는 현지 대리인인 그들
농재유고 / 農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한광의 시·만시·서(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필사본. 저자의 사후에 아들 득녕(得寧)이 유문을 수습하여 편찬한 것이다. 경상북도 예천의 미산고택(味山古宅)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350수, 잡저 8편, 기(記)
농재일고 / 聾齋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이언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53년(철종 4) 11대 방손인 능섭(能燮)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두순(趙斗淳)·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이능섭의 후지(後識)가 실려 있다. 장서각 도
농재집 / 聾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현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7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7년 외후손 박영준(朴永俊)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규헌(李圭憲)의 서문과 권말에 박영준의 발문이 있다. 권상은 부 2편, 시 19수, 서(序) 3편, 기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