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농암집 / 農巖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창협(金昌協)의 시문집. 42권 15책. 활자본. 이 책은 여러 차례 증보, 간행되었다., 원집 34권은 김창협이 사망한 다음해인 1709년(숙종 35)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그 유문을 수집하고, 1710년에 아우 창흡(昌翕) 등이 활
농약 / 農藥 [경제·산업/산업]
농작물의 보호와 생장에 사용되는 약제. 「농약관리법」에 따르면 “농약이라 함은 농작물(수목 및 농림산물을 포함)을 해하는 균·곤충·응애·선충·바이러스·잡초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이하 병충해라 한다)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살충제·제초제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
농어민후계자육성사업 / 農漁民後繼者育成事業 [경제·산업/산업]
농어업을 경영할 의욕과 능력이 있는 농어촌의 청소년으로 하여금 농어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영농자금과 기술지원을 집중화하여 농어촌의 기간적 후계자로 육성하려는 사업. 이 사업은 1978년부터 1980년까지의 3년 동안 실시되었던 영농후계자육성지원사업에서 비롯되었다. 19
농업 / 農業 [경제·산업/산업]
작물과 가축을 재배, 사육하는 것. 농업의 시작은 동식물을 키우고 가꾸어, 식품용(食品用)·의료용(衣料用)·문화용(文化用)으로 쓰기 시작한 때라고 볼 수 있다. 오로지 수렵과 어로생활을 하던 시대는 50만∼100만 년 전으로 거슬러올라간다지만 동식물의 사육과 재배로 인
농업박물관 / 農業搏物館 [경제·산업/산업]
한국농업의 역사적 유산을 발굴, 보전하고, 한국농업사와 농업발전상의 연구 및 자료를 보존하기 위하여 설립된 박물관. 외국인에게 한국농업사와 농민문화 및 유물을 소개하기 위하여, 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1982년부터 5년간의 준비 끝에 1987년 11월 18일 서울특별시 중
농업진흥공사 / 農業振興公社 [경제·산업/산업]
농지개량·농업기계화 및 농가주택개량사업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정부투자기관. 1960년대 후반, 산업의 고도화와 다변화에 따른 농업경영의 다양화와, 농촌인구의 도시이동으로 인한 농업노동력의 부족에 따른 기계화의 시급성, 농경지의 정리와 개량, 농업용
농업협동조합 / 農業協同組合 [경제·산업/산업]
농민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통하여 농업생산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기하기 위하여 설립된 특수법인체. 1961년 8월 「농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발족하였다. 협동조합의 일종인 농업협동조합은 농업경영자인 농민들
농연선생어록 / 農淵先生語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과 김창흡의 「삼연어록」을 수록한 언행록. 김창협의 어록인 「농암선생어록」과 동생 김창흡의 어록인 「삼연어록(三淵語錄)」을 같은 책에 수록함으로써, 두 학자의 학문과 사상을 연계시켜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농암선생어록」은 김창협이 제자
농와문집 / 農窩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53년(철종 4) 후손 봉수(鳳秀)·건찬(鍵燦)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재만(載萬)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에
농와유고 / 聾窩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광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861년(철종 12) 아들 용묵(鏞默)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이 1860년에 쓴 서문을 비롯하여 권말에 용묵이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장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