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홍매기 / 紅梅記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소설 「고항홍매기(古杭紅梅記)」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낙선재본 『태평광기』 권4에 실려 있다. 명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항홍매기」를 번역한 책이다. 『홍매기』는 남자주인공 왕악과 홍매 선녀 장소도의 사랑 이야기를 주제로 한 명대 문언소설이다. 줄거리가

  • 홍명원 / 洪命元 [종교·철학/유학]

    1573(선조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춘경 증손, 할아버지는 일민, 아버지는 영필, 어머니는 조수의 딸이다. 159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수찬, 필선, 장령, 정주목사, 의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해봉집』 3권 3책이 있다.

  • 홍명하 / 洪命夏 [종교·철학/유학]

    1608(선조 41)∼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춘경 증손, 할아버지는 성민, 아버지는 서익, 어머니는 심종민의 딸이다. 164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조좌랑, 대사헌,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기천집』이 있다.

  • 홍백화전 / 紅白花傳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책의 구성은 2권 1책으로 상하가 합본되어 있다. <홍백화전>은 비평본으로 본문 가운데 평점을 표기하고 123개가 비평이 본문 중간 중간에 협비 형태로 가해져 있다. 다만, 12면과 103면, 152면에 주쌍행으로 쓰인 것은 비평이 아니라 본문

  • 홍병수 / 洪秉壽 [종교·철학/유학]

    1807년(순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응운, 조부는 홍경안, 부친은 홍학연이다. 외조부는 이의강, 처부는 신순이다. 1847년(헌종 13) 정시에 병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도청부사과‧양주목사‧이조참의‧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 통

  • 홍병찬 / 洪秉纘 [종교·철학/유학]

    생물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홍종하, 어머니는 백주진의 딸이다. 1777년(정조 1) 대사간에 올랐고, 1780년 홍충도관찰사에 파견되었다. 이어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한성부좌윤을 역임하였다. 1788년(정조 12) 비변사제조를 거쳐 개성부유수로 파

  • 홍봉한 / 洪鳳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3∼1778). 사도세자의 장인이다. 백골징포, 환곡작폐엄금 등으로 국고를 늘렸다. 노론의 영수로 죽어가는 사도세자를 방관해 비난 받았으나 영조가 사도세자의 시호를 내리자 돌연 세자를 죽게 한 김구주일파와 벽파의 탄압기회로 삼았다.

  • 홍살문 / 紅─門 [사회/가족]

    능·원·묘·궁전 또는 관아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나무 문. 둥근 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이 없이 화살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세워 놓았고, 그 중간에는 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 태극 문양은 네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삼태극({{#001}}),

  • 홍생원유기 / 洪生遠遊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산문. 홍생이 죽어 저승에서 놀다가 살아서 돌아온 내용을 기록한 글이다. 작자인 안정복의 문집인 『순암잡서(順菴雜書)』 제41책에 전한다. 「홍생원유기」는 이야기의 전개가 매우 단순하면서 현실과는 동떨어진 세계의 체험담을 서술한 것이

  • 홍서봉 / 洪瑞鳳 [종교·철학/유학]

    1572(선조 5)∼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계정 증손, 할아버지는 춘경, 아버지는 천민, 어머니는 유당의 딸이다. 15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일찍이 시명을 떨쳐 ≪청구영언≫에 시조 1수가 전한다.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