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강낭콩 [과학/식물]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한자어로는 채두(菜豆) 또는 운두(雲豆)라고도 한다. ≪물명고≫에는 변두(藊豆)·작두(鵲豆)·용과두(龍瓜豆)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학명은 Phaseolus vulgrais var. humilis ALEF.이다. 동양의 옛 농서에는 강낭
강냉이밥 [생활/식생활]
멥쌀에 옥수수를 섞거나 옥수수만으로 지은 밥. 강냉이는 옥수수의 방언이며 북미가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대략 1500년경에 폴란드인들에 의해 중국에 도입되고 1600년대에 중국대륙 전반에 걸쳐 전파되었으며, 1700년대에 우리나라에
강녕전회작홀기 / 康寧殿會酌笏記 [정치·법제]
경복궁에 있는 왕의 침전인 강녕전(康寧殿)에서 거행된 회작(會酌)의 의식 절차를 기록한 홀기. 회작은 진연 이튿날에 다시 베푸는 잔치이다. 표지에 '계사 3월'이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1893년(고종 30)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강달모 / 姜達模 [역사/근대사]
1909-1975.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자. 출신지는 전라남도 나주군(羅州郡) 남평면(南平面)이다. 전남공립사범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29년 6월 광주학생 지도자 장재성(張載性)이 조직한 학생비밀결사회인 ‘독서회 중앙부’의 재정부 위원직을 맡았으며, 그해 7월
강달영 / 姜達永 [역사/근대사]
1887-1942. 공산주의운동가. 경상남도 진주 출생. 6세 때부터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3·1운동 때 농민과 청년의 선두에서 지도하다가 투옥되어 1년6개월간 복역하였다. 1921년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에 참가하였으며,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 결성과 함께 중앙위
강달주 / 姜達周 [역사/근대사]
1880-1960. 일제 강점기 의병장·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본적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이다. 1907년(융희 1) 일제에 의해 강압적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면서 전국적으로 의병활동이 진행되었다. 이때 심남일(沈南一)
강당 / 講堂 [종교·철학/유학]
유생들이 경학을 공부하는 서원 건물의 하나. 서원의 강당을 일컫는다. 서원의 강당에는 밖으로 서원 명칭의 편액이 걸리고 안으로는 백록동규를 비롯한 원기 및 각종 잠·명이 걸리게 된다. 우리 나라 서원 강당의 배치양식은 중국과 유사하나 규모가 작고, 전아한 것이 특색이
강대주 / 姜大周 [역사/근대사]
1880-1960.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진주. 자는 달주(達周). 전라남도 나주 출신. 맹수(孟秀)의 아들이다. 1907년 군대해산 후 함평군 신광면에서 심남일(沈南一)이 의병을 일으키자, 이에 가담하여 후군장으로 활약하였다. 이어서 선봉장 강무경(姜武景)과 격문
강대창 / 姜大昌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자. 출신지는 경상남도 진주(晉州)이다. 1923년 진주에서 금주단연회(禁酒斷煙會) 조사원을 하였으며, 1924년에는 사상단체 동우사(同友社) 결성에 참여하였고, 1925년 2월에는 조선노동공제회 진주지회 창립 3주년기념회 준비위원으
강대홍 / 姜大洪 [역사/근대사]
1904-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이다. 1925년 1월 경남청년연맹 준비위원을 맡았으며, 같은 해 6월 진영소작인회 창립대회 실행위원을 지냈다. 1926년 10월 동아일보 부산지국에서 기자생활을 할 때 김단야(金丹冶)·박헌영(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