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개항기 1,76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개항기
  • 동궁비원삼 / 東宮妃圓衫 [생활/의생활]

    순종이 황태자로 있을 때 거행된 가례(嘉禮: 혼례)시 동궁비(황태자비) 윤비가 착용하였던 오조룡보(五爪龍補)가 부착된 홍색 원삼(圓衫) 1점. 다홍색 운봉문(雲鳳紋) 비단에 동일한 문양이 직금된 매우 화려한 원삼이다. 오조룡원보(五爪龍圓補) 2쌍 4점이 부착되어 있다

  • 동도서기론 / 東道西器論 [교육/교육]

    1880년대 초 김윤식·신기선 등이 주창한 전통적인 제도와 사상은 지키되 근대 서구적인 기술은 받아들이자는 이론. 사상이 전통과 연속되는 내재적 측면에서 보수성이 생기고, 근대 서양자본주의 및 과학·기술과 연결되는 외래적 측면에서 진보성이 생겨, 결국 이 양면을 하나로

  • 동래부읍지 / 東來府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동래부(현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東萊府邑誌(경상남도동래부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외에 영조 때 편찬된 『동래부지』와 『경상도읍

  • 동뢰홀기 / 同牢笏記 [정치·법제]

    혼인의 여섯 가지 예법 중의 하나인 동뢰(同牢)의 의식 절차를 기록한 홀기. 동뢰는 국왕이 왕비를 대궐로 맞이해 와서 함께 절하고 술을 주고받는 의식이다. 이 문서에서는 '왕자(王子)'와 '부인(夫人)'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왕자의 혼례임을 알 수 있다.

  • 동맹휴학 / 同盟休學 [사회/사회구조]

    학생들이 교육 또는 정치적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수단으로 벌이는 집단적인 등교·수업 거부 운동. 근대 교육 제도하의 학생들은 인간애·자유·평등의 가치를 지향하였고, 근대적 대중교육 초창기에는 일반 국민보다 지적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선구자적 사명감을 가졌다. 그러므로

  • 동문사 / 同文司 [역사/근대사]

    1881년 11월에 이전의 사대사와 교린사에서 담당하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관서. 사대사는 사대문서의 관장과 중국사신의 접대, 군무, 변정사신의 차송, 교린사는 교린문서 관장, 사신접대 등을 맡았다.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

  • 동문자모분해 / 東文字母分解 [언어/언어/문자]

    1860년대에 강위(姜瑋)가 지은 정음(正音) 연구서. 널리 알려진 것은 김윤경(金允經)의 ≪조선문자급어학사 朝鮮文字及語學史≫(1938)에 수록된 ≪동문자모분해≫(1869)이며, 근래에 알려진 것은 이능화(李能和)의 ≪국문연구안 國文硏究案≫(1907)에 등사된 ≪의정국

  • 동번집 / 東樊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만용(李晩用)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권말에 원승의 지(識)가 있다. 권1∼3에 시 530수, 권4에 문(文) 10편이 실려 있다. 권말에 부록으로 실려 있는 「계당집초 溪堂集抄」는 저자의 아들인 지형(之衡)의 작품으로 부(賦) 1편과

  • 동복지 / 同福誌 [지리/인문지리]

    1855년 송긍면 등이 전라도 동복(현 화순군 동복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필사본 『동복군읍지』 1책과 편찬연대 미상의 『동복현지』 1책 등이 규장각 도서에

  • 동여전도 / 東輿全圖 [지리/인문지리]

    전국 도별도와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크기는 세로 24㎝, 가로 17㎝이며,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각 1매와 전국 8도 각 1매씩 전체 11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도를 「대조선국전도」라고 한 것으로 보아 대한제국

페이지 / 17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