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대창서 / 大倉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창고를 관장하던 관청. 소속관원으로는 목종 때 영(令)이 있었음이 확인되며, 문종 때 영·승(丞) 4인과 이속으로 사(史) 5인, 기관(記官) 4인, 산사(算士) 2인을 두어 직제상의 확립을 보게 되었다. 주요기능은 좌창과 우창을 관할하는 것이었다.

  • 대책 / 對策 [정치·법제/법제·행정]

    문과 전시과목의 하나. 시험 과목의 하나로 어떤 문제에 대한 응시자의 의견을 묻는 글이다. 한나라 때부터 많이 쓰였다. 책에는 천자가 정책을 묻는 제책, 유사가 응시자에게 정책을 묻는 시책, 학사대부가 개인적인 정견을 올리는 진책의 세 가지가 있었다.

  • 대통관 / 大通官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에 동행하였던 통역관. 조선측에서는 직계에 따라 각기의 소임을 달리하였지만, 청나라에서는 대통관 일반규정에 따라 동일한 예우를 하였고, 병자호란 이후 조선인 포로 및 그들의 자손 중에서 대통관 6인과 차통관 8인을 뽑아서 조선과의 관계사무를 맡기

  • 대파사화성부별유유지 / 代播事華城府別諭有旨 [정치·법제]

    1798년(정조 26) 6월 5일. 정조가 화성부에 대용식물로 메일(木麥)을 심도록 특별히 내린 문서. 《정조실록》에는 6월 5일 기사로 실려 있고《승정원일기》에는 6월 7일 기사로 되어 있어 시간적 차이가 보인다. 내용은 자연재해로 절서(節序)가 지난 농지나 불모지에

  • 대학박사 / 大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국자감에는 5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가 입학하도록 되어 있는 대학(大學)을 두었는데, 대학박사는 여기서 교수직을 맡았다. 정원은 2인이었고 품계는 종7품이었다. 국가로부터 전(田) 60결과 시(柴) 33결을 지급받았다.

  • 대학사 / 大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보문각·예문관·문덕전·연영전에 소속된 관직. 보문각에는 1인을 두었다. 그 뒤 충숙왕 원년에 심왕(瀋王)의 건의로 대제학(종2품)을 두었는데, 이 관직이 공민왕 5년에 대학사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대제학으로 바뀌는 등 명칭에

  • 대한국기념장증서 / 大韓國紀念章證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원년) 8월 27일 순종황제의 즉위예식을 기념하여 표훈원에서 순종황제의 조칙을 받아 궁내부대신 관방사무촉탁 이노우에 마사지(井上雅二)에게 수여한 증서, 1907년 헤이그 특사사건을 계기로 일제의 강압에 의해 고종이 물러나고 순종이 즉위하였다. 이 사건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大韓獨立促成國民會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8일 조직된 우익단체. 이승만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김구 중심의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 중앙위원회가 통합 발족했다. 총재 이승만, 부총재 김구, 김규식, 고문 권동진, 김창숙, 함태영, 조만식, 오화영, 회장 오세창이 추대되었다. 독촉국민회는 범국민적

  • 대한민국임시정부 / 大韓民國臨時政府 [정치·법제/외교]

    1919년 중국 상해에서 한국독립운동자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 임시정부란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외에서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확산될 때,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또 독립운동을 능률적으로 발전

  •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 [정치·법제/법제·행정]

    민족항일기에 중국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 임시정부는 대한국민의회, 상해임시정부, 한성정부 등으로 형성되었다. 이 세기구는 1919년 9월 11일 상해의 임시정부가 개헌형식(통합헌법, 제1차 개헌)으로 대한국민의회를 흡수 통일정부가 수립되었다. 그 뒤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