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농려집 / 農廬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강헌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5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아들 진(鎭)과 유(鎏)가 유문을 정리하다가 마치지 못하고 죽자, 그의 아우 면(0x9E74)이 1895년(고종 32)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면의 발문이 있다. 규장
농림수산고문헌비요 / 農林水産古文獻備要 [경제·산업/산업]
김영진(金榮鎭)이 편찬한 농서 해제집. A5판. 474쪽. 1982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1910년 이전에 나온 우리나라 농서를 비롯하여 농업에 영향을 끼쳤거나 이에 관련이 있는 문헌 232권에 대하여 해설을 붙인 책이다. 서술은 책이름, 나온 해, 지
농무도감 / 農務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일본정벌을 위한 군량미 확보를 위해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설치시기는 1277년(충렬왕 3)이다. 원나라에서는 1270년(원종 11)에 일본정벌을 위한 준비로 고려에 둔전책을 실시, 이듬해인 1271년에는 농무별감을 여러 도에 나누어 보냈다. 직무는 농우와
농무목축시험장 / 農務牧蓄試驗場 [역사/근대사]
1884년 농업 개량을 위해 설치한 모범 농장. 미국의 농기구, 각종 농작물 종자, 가축 도입을 통해 품종 개량, 낙농업 개발, 서구 농업법 도입 등을 시도하였다. 시험장에서 재배, 사육된 작물과 가축의 상황이 1884년 최경석이 작성한 <농무목축시험장소존곡채종>이라는
농묵집 / 聾默集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승려 법린의 시·문·부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교시문집. 필사본. 1권 1책.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실려 있다. 시 55편·문 4편·부록 1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에는 법린의 행장과 교유하였던 조선 말기의 문사와 관료들이
농민 / 農民 [사회/사회구조]
농업을 생업의 기반으로 하는 사람. 농민의 개념은 크게 직업적·계층적인 두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직업적 측면에서 볼 때, 농민이란 가족노동을 기반으로 농산물을 직접 생산하는 데 종사함으로써 생계를 영위해 나가는 사람들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첫째, 농민은 농업을
농민문학 / 農民文學 [문학/현대문학]
농촌의 문제와 정취를 배경으로 농민의 삶을 그린 농민·농촌 제재 문학. 농민소설은 1920년대의 지식인소설·노동자소설의 한계를 벗어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생동적인 문학세계를 열어 한국소설의 새로운 장을 전개시켰다. 1925년 이익상의 <흙의 세례>부터 1945년 광복
농민생활 / 農民生活 [언론·출판/언론/방송]
1929년 6월 14일에 평양 농민생활사가 창간한 3단 국문으로 내리 편집한 기독교 농민잡지. 내용은 광고, 논문, 문예, 잡문, 소개,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민운동 / 農民運動 [사회/사회구조]
농민이 농민의 권익을 위하여 조직적으로 전개하는 사회경제운동. 농민은 농토 위에 생존하기 때문에 농민의 권익 가운데 농토의 소유와 농산물의 분배상 권익이 기본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농토의 소유와 농산물의 분배에 있어, 농민 또는 농업 이외의 다른 이유에 의하여 모순이
농민조합운동 / 農民組合運動 [역사/근대사]
1926년부터 1935년 사이에 일어난 일련의 농민조합 형태의 농민운동. 1920년대 초 소작인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소작인조합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전체 농민을 포괄하는 농민조합으로 체제를 개편하였다. 이는 농민운동의 성격이 단순한 소작조건의 개선이라는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