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논어대문구결 / 論語大文口訣 [언어/언어/문자]
『논어』의 본문만을 발췌하여 한글로 구결을 단 구결서. 7권 1책. 을해자본. 방점은 없으나 ᅀ·ㆁ은 정확하게 사용되고 있다. 간기가 없지만 활자와 문자의 사용 등으로 보아 16세기 중엽의 간행으로 추정된다. 이 책의 구결은 선조 때 교정청에서 편찬, 간행된 『논어언
논어보일 / 論語補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논어』를 기본으로 다른 경전에 산재한 공자의 말을 수집하여 엮은 유학서. 5권 5책. 필사본. 편자 미상. 서(序)·발·간기(刊記) 등의 기록이 없으며, 편찬경위를 알 수 없고 제4책의 일부와 제5책의 전면이 공백으로 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아직 완성을
논어상설 / 論語詳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어유봉이 『논어』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이 책은 본래 김창협(金昌協)이 편찬을 계획하여 목록과 편찬체제를 만들고, 문인 김시우(金時佑)와 함께 편찬을 시작했는데, 불과 수 편을 정리하고는 김창협이 세상을 떠나자 일
논어수차 / 論語手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논어』 5편을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3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저작연월일과 편찬경위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내용을 검토한 끝에 정약용의 저술임을 추론할 뿐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논어』 20편 가운데 학이(學而)·위정
논어언해 / 論語諺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선조(宣祖) 명찬. 전주부: 하경룡(河慶龍), 1810년(순조 10) 4권 4책. 표제와 판심제는 논해(論解)이다. 간기는 세경오(歲庚午,1810) 중춘개판전주부하경룡장판(仲春開板全州府河慶龍藏板). 선조의 명으로《논어》의 원문에 구결
논어질서 / 論語疾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이 『논어』에 관하여 정리한 주석서. 유학서. 2권 2책. 필사본. 7서(七書)를 해설한 『성호질서(星湖疾書)』의 일부인데, 1922년에 간행된 『성호전집(星湖全集)』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간행 여부는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
논어집주 / 論語集註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9.7×19.4cm, 반곽은 21.8×14.3cm이다. 표제는 논어강보(論語講譜), 판심제는 논어(論語)이다. 권삼현장(權參鉉章)이 주색(朱色)으로 날인 되어 있다. 상중하(上
논어집주대전 / 論語集註大全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胡廣(明) 等 受命編. 목판본(신간). 한성 규장각 1820년(순조 20) 20권 7책. 표제는 논어(論語), 간기는 庚辰(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주희가 본인의 학설에 기초, 이정(二程)과 그 제자들의 학설을 참고,
논어혹문 / 論語或問 [종교·철학/유학]
『논어』의 각 장을 문답식으로 논변한 주석서. 유학서. 20권 6책. 목판본. 간행경위·편자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송나라 주희(朱熹)의 『대학혹문』의 예에 따랐다. 또한, 주희의 『논맹혹문(論孟或問)』과도 비슷하나, 내용상 약간의 차이가 있고 누락된 부문
논평안도의주부육도표닉민인등서 / 論平安道義州府六島漂溺民人等書 [정치·법제]
1796년(정조 20). 정조가 평안도 의주부 육도의 수재민을 위로하는 유서. 이 문서에는 발급인과 발급시기가 없으나,《홍재전서》38권에 실려 있어 발급시기와 발급인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은 의주부의 수재민에게 신구환곡과 전세, 대동세, 신역, 포전도 징수하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