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논산시 / 論山市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계룡시 두마면, 대전광역시·금산군, 서쪽은 부여군, 남쪽은 전라북도 완주군·익산시, 북쪽은 공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59′∼127°20′, 북위 36°04′∼36°16′에 위치한다. 면적은 554.81㎢이고, 인구는 12

  • 논산신기리지석묘 / 論山新基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신기리 고암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출토유물로는 간돌검〔磨製石劍〕 1점, 돌살촉〔石鏃〕 15점이 수습되었으나 출토상황은 알 수 없다. 모두 점판암(粘板巖)으로 만들어졌다. 돌검은 1단병식(一段柄式)으로 부여지방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식이

  • 논산원봉리지석묘 / 論山圓峰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돌널에서는 간돌검 1점, 돌화살촉 3점이 그 끝을 동북방향으로 향한 채 중앙부분에서 발견되었고, 또 고운 붉은간토기계통의 토기조각도 출토되었다. 석기들은 모두 점판암제이며, 돌검은 자루가 이단병식(二段柄式)

  • 논산천 / 論山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 서쪽과 논산시 연산면 산지에서 발원하여 논산시내를 지나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로길이 32.6㎞, 유역면적 527.11㎢. 논산시의 북서부를 남서쪽으로 흘러 논산시 가야곡면과 부적면 경계에서 조정저수지를 이루고, 논산시내에 이르러 연산천(連山

  • 논산천안고속도로 / 論山天安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선명은 호남고속도로(천안-논산)이며 고속국도 제25호선이다.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을 기점으로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이르는 총 연장 82㎞, 너비 23.4m의 왕복 4차로 고속국도이다. 인천

  • 논산평야 / 論山平野 [지리/자연지리]

    차령산맥 남동부의 금강 하류에 펼쳐진 평야. 논산평야는 부여군·서천군·논산시에 걸쳐 있고 남쪽으로 호남평야에 이어진다. 평야는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금강 하류의 논산평야는 범람원(汎濫原)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논산시와 부여군은 경지 면적 중 논의 비중이 70% 이상

  • 논신임의리문자 / 論辛壬義理文字 [종교·철학/유학]

    신임사화의 진상을 밝히고 당쟁으로 희생된 노론 4대신의 처지를 대변한 정치서. 신임사화는 1721년(경종 1)과 1722년에 일어난 노론과 소론의 당쟁이다. 경종이 신체가 병약하다는 이유를 들어서 왕세제(뒤의 영조) 금(昑)을 대리청정(代理聽政)시키자고 주장한 김창집

  • 논어 / 論語 [종교·철학/유학]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 공자는 인(仁)의 실천에 바탕을 둔 개인적 인격의 완성과 예로 표현되는 사회질서의 확립을 강조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도덕적 이상국가를 지상에 건설하려 하였다. 만년에 육경(六經) 편찬에 힘쓴 것은 후

  • 논어강설 / 論語講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재가 『논어』의 난해한 구절을 문답 형식으로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불분권 1책. 필사본. 간기가 없어 간행여부는 자세하지 않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의 편차는 『논어』의 순서에 따르지 않고, 태백(泰伯)·선진(先進)·안연(顔淵)·위령공

  • 논어고금주 / 論語古今註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이 책은 <헌문> 하에서 <위령공> 상까지 수록되어 있다. 정약용의 <논어고금주> 총40권 가운데 권25, 권26, 권27의 3권을 1책으로 묶은 것이다. 내용은 <헌문 제14>의 13장부터 <위령공 제15>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