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녹차집 / 綠此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연활자본. 1932년 이종소(李鍾韶)·강신용(姜信鏞)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영년(崔永年)의 서문과 권말에 강신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권2
녹천소차초록 / 鹿川疏箚抄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유의 소차를 초록하여 간행한 언행록. 3권 3책. 목활자본. 간행연대 및 편자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소(疏) 60편, 차(箚) 12편, 권2에 차 32편, 소 9편, 권3에 소 27편, 의(疑) 1편, 의(議) 28편 등
녹천유고 / 鹿川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고광순의 서(書)·격문·애사·제문 등을 수록한 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4년 그의 손자인 영준(永俊)·광수(光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동(金潤東)·조경한(趙擎韓)·이가원(李家源) 등의 서문이 있고, 권
녹패 / 祿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문무관원에게 녹과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이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조선시대의 녹과는 제1과부터 제18과까
녹훈도감의궤 / 錄勳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각종 모반 및 반란사건을 고변하거나 평정한 공이 있는 사람에 대한 녹훈을 기록한 의궤. 규장각도서에는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 昭武寧社錄勳都監儀軌≫·≪녹훈도감의궤≫·≪분무녹훈도감의궤 奮武錄勳都監儀軌≫ 등 3종의 ≪녹훈도감의궤≫가 있다.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는
논 / 論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고대 논설문의 일종으로 사리를 판단하여 시비를 밝히는 문체라 할 수 있다. 논의 내용을 대별하면 논리(論理)·논사(論史)·논학(論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특징으로 논은 말에 논리적인 특성을 세워 분석하는 것이 주된 임무이다. 그래서 변체(變體)처
논맹인물유취 / 論孟人物類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만수·박준원 등이 『논어』와 『맹자』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명·자·출신지·경력·언행 등을 수록한 인명록. 1책(29장). 고활자본(정리자). 1800년(정조 24) 왕명에 따라 규장각 직제학(直提學) 이만수(李晩秀)를 비롯, 박준원(朴準源)·김조순(金
논맹혹문정의통고 / 論孟或問精義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송시열이 『논어』와 『맹자』의 주요 장구를 발췌하여 1720년에 간행한 주석서. 중국 송나라 주희(朱熹)의 『논맹혹문』과 정호(程顥)·정이(程頤)·장재(張載)를 중심으로 범조우(范祖禹)·여계명(呂啓明)·여대감(呂大臨)·사량좌(謝良佐)·유작(游酢)
논사록 / 論思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기대승이 경연에서 강론한 내용을 가려 모은 책. ≪고봉집≫ 속에 실려 전한다. ≪고봉집≫은 원래 5책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그 중 제4책과 제5책이 <논사록>이다. 저자가 세상을 떠난 다음에 선조가 기대승이 경연에서 강설한 통치의 이념을 잊을 수 없
논산돈암서원 / 論山遯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위치한 서원. 사적 제383호이며, 지정 면적은 5590㎥이다. 1634년(인조 12)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김장생(金長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창건 이전 연산면에는 김장생의 아버지인 계휘(繼輝)가 설립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