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녹봉문집 / 鹿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언일의 시·서(書)·설·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2책. 필사본. 지은이가 생전에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88수, 권2·3에 설 1편, 변(辨) 1편, 잡저·서(書) 각 3편, 상량문 1편, 비문 3편, 소·장

  • 녹사 / 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 고려시대 중앙의 여러 관부에는 문하녹사 등의 정7품에서부터 병과권무(丙科權務)에 이르기까지 각급의 녹사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조선 초기에도 8품에서 권무에 이르기까지 각급의 녹사직이 설치되어 있었다.

  • 녹스 / Philander. C. Knox [정치·법제/외교]

    1853-1921. 미국의 국무장관, 변호사. 1904년 상원의원이 되었다. 태프트가 대통령이 되자 국무장관에 지명되었다. 그는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였고 중국 진출을 꾀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남만주철도의 중립화를 계획하였다. 1916년 상원의원에

  • 녹어산관집 / 鹿魚山館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인 정병조(鄭丙朝)의 시집. 4권 2책. 연활자본. 1941년 저자 자신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自序)가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은 화완여송(火浣餘誦)으로 234수, 권2는 망경여록(望瓊餘錄)으로 195수, 권3은 동유소초(東游小草)에 40수

  • 녹유 / 綠釉 [예술·체육/공예]

    토기 표면에 녹색·청색을 내는 데에 사용하는 유약. 토기의 표면에 연유(鉛釉)를 시유(施釉)하여 청색·녹색 및 황갈색을 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연유는 잿물이나 규산(硅酸)에 연단(鉛丹)을 섞고 발색제로는 동 또는 철을 섞은 것으로, 동은 산화염(酸化焰)에서 구우면 청록

  • 녹유골호(부석제외함) / 綠釉骨壺(附石製外函) [예술·체육/공예]

    통일신라시대의 도기 뼈 항아리. 국보 제125호. 경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외함(外函)과 함께 발견되었다. 유골을 넣어 매장하는 데에 사용되던 항아리로서, 낮은 온도에서 발색하는 연유(鉛釉)계통의 녹유를 발라 구워낸 것이다. 형태는 원형의 합

  • 녹음기 / 錄音器 [경제·산업/산업]

    소리를 재생시키는 기계. 음원(音源)의 세기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서 녹음용 헤드의 코일에 흘려 코일철심의 공극(空隙:틈)부분을 통과하는 자성체를 자화시켜 녹음한다. 재생시는 동일헤드 또는 별개의 같은 종류의 헤드 공극에 자성체를 통과시켜 헤드의 코일에 유기된 전압을

  • 녹읍 / 祿邑 [경제·산업/경제]

    신라 및 고려 초기에 관료들에게 일정한 경제적 수취를 허용해준 특정한 지역. 관료들에 대한 경제적 처우방식으로서의 녹읍제(祿邑制)가 존속한 시기는 삼국시대의 신라시대로부터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 초기의 통일 전까지 걸친다.

  • 녹전봉상색 / 祿轉捧上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 공민왕의 복주 파천 때 녹전의 출납 사무를 관장하던 임시관청.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의 침입으로 복주로 파천해 있을 때, 임시녹전의 출납을 맡기 위해 설치하였다. 본래 녹전의 출납은 광흥창의 소관이었으나 전란으로 중앙의 광흥창의 기능이 마비되자 당

  • 녹차 / 錄差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원을 확인하여 등록하고 임명. 중국으로 파견되는 삼사(사·부사·서장관)가 데리고 갈 자제와 가노는 의정부에서, 교린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경우에는 이조에서 각각 녹차하였다.『통문관지』에 의하면 정사와 부사는 서자·마두·좌견마·일산봉지 각 1명과 인로 2명, 농마두·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