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노태준 / 盧泰俊 [역사/근대사]
1911-1970. 독립운동가. 호는 무웅(無雄). 임시정부 군무총장 백린(伯麟)의 차남이다. 1931년 3월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으며, 이듬해 4월에는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교육 및 훈련을 받았다. 1936년 졸업하여 한국독립당 청년단을
노파문집 / 蘆坡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641년(인조 19) 그의 문인 조임도(趙任道)와 손자 수억(壽億)이 편집하였고, 1834년(순조 34)에 7세손 화준(華峻)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임도의 서문과 권말에
노포 / 露布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그 하나는 문서에 봉투를 봉하지 않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선포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 하나는『문체명변(文體明辨)』에서 “승전(勝戰)의 보도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포백(布帛)에 글을 써서 장대 위에 걸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널리 알리는 것이다.”
노포동고분 / 老圃洞古墳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 집자리[住居址] 및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보이는 벽구는 영남지방 전기 청동기시대 집자리의 한 특징이다. 골아가리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표지적(標識的) 유물이며, 주로
노포문집 / 老圃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광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9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3책. 석인본. 1979년 그의 5대손인 황(愰)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배동환(裵東煥)과 황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57수
노포미정고 / 盧浦未定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안세영의 시·서(書)·발·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6책. 필사본. 초고본으로 편차도 되어 있지 않다. 저자의 자서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195수, 부 3편, 서(書) 8편, 서(序) 10편, 기 2편, 발 6편, 잠 2편, 설 2편
노포유고 / 老圃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면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916년에 간행되었으며,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인 영원(榮源)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97수, 권2에 소 3편,
노포자유고 / 老圃子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심능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6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6년 후손 규택(奎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규택의 서문과 권말에 현손 기섭(起燮)의 지(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사(
노하풍운 / 老霞風韻 [언론·출판]
저자 신위(1769-1847). 필사본. 1책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는 <노하풍운>, 권수제는 <자하시고>이다. 본문은 31장으로 시작하기 전에 당나라 전기의 <귀안>이라는 작품, 마지막 장 다음에는 당나라 시인인 가도의 <심은자불우>라는 작품이 있다.
노한사전 / 露韓辭典 [언어/언어/문자]
1874년 상페체르부그르(C.ПeTepóyprb : 지금의 레닌그라드)에서 푸칠로(Пyuиππo,M.)에 의해서 편찬, 간행된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대역사전(對譯辭典). 러시아어의 주제어휘 총수는 약 7,300어 정도에 달한다(1면당 평균 10어). 러시아어는 활판인쇄이